earticle

논문검색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지 전개과정 연구 - 청주 오송유적 주거지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Changes of Dwellings' Neolithic Age in Midwest Korea

김호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Neolithic age dwellings at the Osong site, Cheongju. These dwellings are in a four-pillar structure with four main pillars on a square or a rectangle plane. It is found that their interior spaces were divided for different uses including the protruding entrance facilities and bare pit grounds. The dwelling types with similar features from the Neolithic Age in central western regions were investigated, and they include the "Unseo-dong type dwellings," which represent the early stage(latter part of the former period) in the central western coast, and the "Daecheon-ri type dwellings," which represent the middle period in the inland Chungcheong region. Previous studies estimated the spreading process of dwellings in the central western regions during the Neolithic Age based on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dwellings, but they have not provided evidence on the basis of materials to support them. After an investigation into the Neolithic dwellings at the Osong site, Cheongju, a process was confirmed from the "Unseo-dong type dwellings" at the early stage through the Osong site, Cheongju to the "Daecheon-ri type dwellings." This study compares and reviews these two types of dwellings and the "Singil-dong type dwellings" in the central western coast, which seemed to have relations with them, with the Osong site to determine the transitional process of dwelling types during the Neolithic Age from the former period(Unseo-dong type dwellings) to the middle period(Daecheon-ri type dwellings). The review found that the Neolithic dwellings show similarities in the form overall. There are also changes to them including a bigger dwelling size and the gradual move of the spatial division patterns from the side and back of the dwelling to the front. As for artifacts excavated in the dwellings, pottery made a shift from the stage of engraving only in Part 3(Unseo-dong type dwellings) under the phase of different pottery works through the stage of engraving only in Part 2(Osong site, Cheongju and Singil-dong type dwellings) to the phase of the same pottery works. There was also the emergence of new Nenggyeok patterns. As for stoneware, the amounts of digging tool and stone axe, which are considered farming tools, increased. Thes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materials were tested with the radiocarbon dates of the sites. The changes to the dwelling types and artifacts excavated in them confirm a gradual migration process of the Neolithic people from islands and coasts in the central western regions to inland hills. This paper estimates that the migration of the population was due to the emergence of early agriculture and climate changes.

한국어

본고는 청주 오송유적에서 조사된 신석기시대 주거지의 시ㆍ공간적 위치를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중서부해안지역의 운서동식 주거유형이 충청내륙지역의 대천리식 주거유형으로 전개되어가는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청주 오송유적에서는 신석기시대 주거지가 6기 조사되었으며, 그 중 잔존상태가 양호한 2기의 주거지를 중심으로 주거형태ㆍ출토유물ㆍ절대연대를 검토하였다. 주거지는 장방형의 평면형태에 돌출된 출입구시설과 수혈식노지, 4주식 주혈배치와 함께 공간을 분할하여 이용한 특징이 확인된다. 유물의 경우 토기는 구분계토기 중에서 2부위에 시문되는 토기와 동일계토기가 공존하는 모습을보이며, 석기의 경우 유물의 종류는 유사하지만 초기 농경과 관련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굴지구 등의 수량이 증가하는 모습이 보인다. 오송유적 주거지와 유사한 중서부지역의 주거지는 중서부해안지역의 운서동식 주거유형과 신길동식 주거유형, 충청내륙지역의 대천리식 주거유형 등이 대표적이다. 운서동식 주거유형의 특징으로는 방형의 평면형태에 돌출된 출입구시설, 수혈식노지, 4주식 주혈배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이용하였으며, 토기의 전면을 3부위로 구분하여 문양을 시문한 구분계토기가 중심을 이룬다. 신길동식 주거유형 역시 중서부해안지역에 집중적으로 위치하나 방형의 평면형태에 수혈식노지와 4주식 주혈만 배치된 단순한 구조로 운서동식 주거유형과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토기의 경우 2 부위에만 문양을 시문한 구분계토기가 중심을 이루어 운서동식 주거유형에 후행된다. 대천리식 주거유형은 충청내륙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되었으나 최근 충청해안, 경기도, 전북 북부등에서도 확인되는 예가 증가하고 있다. 대천리식 주거유형의 특징은 장방형의 주거지에 돌출된 출입구시설, 수혈식노지, 4주식 주혈배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이용한 흔적 등이 확인되며, 동일계토기가 중심을 이룬다. 특히 능격문토기가 공반되는 유적이 다수 확인되기도 한다. 중서부지역의 신석기시대 주거지는 전기에 해당하는 운서동식 주거유형과 중기 전반에 해당하는신길동식 주거유형의 경우 중서부해안지역에 집중되며, 중기 후반에 해당하는 대천리식 주거유형은충청내륙지역 또는 경기내륙지역에 위치하여 위치적ㆍ시기적 상호간에 관련성이 제기되었지만 변화 과정에 해당하는 유적이 확인되지 않아 가능성만 제시되는 상황이었다. 오송유적 주거지는 이러한 가능성을 일부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중서부해안지역(전기·중기 전반)의 집단이 점차 충청내륙지역(중기 후반)으로 이동 및 전개되는 과정을 오송유적주거지를 통해서 파악해 볼 수 있다고 추정해 보았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청주 오송 신석기시대 주거지
1. 취락의 입지
2. 주거지의 형태 및 내부시설
3. 출토유물 분석
III.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주거지의 현황 및 양상
1. 운서동식 줏거유형
2. 신길동식 주거유형
3. 대천리식 주거유형
IV. 청주 오송유적 주거지의 시ㆍ공간적 변화양상
1. 중서부지역 주거형태 및 출토유물 비교
2. 오송유적 주거지의 전개과정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호원 Kim, Ho-Won. 중앙문화재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