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감염병 관리체계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 지역감염병 관리체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search on the Efficiency of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Regional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ystem

주효진, 장봉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government department responsible for the prevention and response of infectious diseases by providing organizational reorganization and policy alternatives centering on changes in the regional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achieve its mission. Th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urrent status and role of the ‘KCDC’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the crisis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Second, in order to maximize collaboration and efficiency and speed of infectious disease crisis manage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governance, establish a collaborative system with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and civic groups. Third, in terms of risk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extravagance needs to be considered as a priority when all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are budgeting, with a shift in the perception that it is essential and not a wasteful factor or excess in the area of public administration. Lastly, everyone should recognize that the high level of consciousness of the people is the most important in managing the infectious disease crisis and there should be continuous efforts and activities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infectious diseas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감염병 관리체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 조직개편 및 정책대안을 제시하여 질병관리본부가 감염병 예방 및 대응을 전담하는 정부부처로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감염병으로부 터 지켜주어야 하는 기관 본연의 임무를 달성하도록 하는 데 있다. 논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염병 위기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질병 관리본부의 위상과 역할을 더욱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거버넌스 체계관점에서 감염병 위기관리의 효율성과 신속성과 함께 협업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와 뿐만 아니라 대학, 연구소, 시민단체 등과의 협업체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합리적인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감염병 위기관리 측면에서 가외성은 행정의 영역에서 낭비적 요소나 초과분이 아닌 필수적이면서 기본적이라는 인식전환과 함께 모든 정부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예산편 성을 할 때 최우선적 고려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민들의 높은 의식수준이 감염병 위기관리에서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국민 모두가 인식함과 동시에 감염병을 통한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과 활동 역시도 있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감염병의 분류체계와 역대 정부별 평가
1. 감염병의 개념과 분류체계
2. 역대 정부의 감염병 관리에 대한 평가
Ⅲ. 감염병 관리체계에 대한 해외사례 분석
1. 대만 감염병관리기구의 현황분석
2.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체계
3. 정책적 함의
Ⅳ. 우리나라 감염병 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
1. 중앙 감염병 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2. 지역감염병 관리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3. 중앙과 지역의 감염병 관리체계상의 현황과 문제점
4. 감염병 관리체계의 효율화를 위한 정책방안
Ⅴ.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주효진 Ju, Hyo-Jin. 가톨릭관동대학교
  • 장봉진 Jang, Bong-Jin. 가톨릭관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