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중가요 이미지 분석 - 이미자의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zing the image of popular songs - Focused on Lee Mi-ja’s popular songs -

정용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y analyzing the images appearing in popular music, I focused on examining the lives of the public in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the turbulent period of the 1960s and 1970s in Korea. The events that characterized this period were a series of landmark events in the modern history of this nation, including the emergence of the military regime through the 5.16 coup, the government-led strong industrialization and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the restoration of Korea-Japan relations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slogan of the military government that came to power during this period was “modernization of the homeland”, where modernization was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represented by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popular singer Lee Mi-ja, who appeared during this period, is the best singer in the Korean popular music world. Her song was popular among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at the same time, it was a song that suffered bad luck as a ban song li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image and spatial image in the song of Lee Mi-ja, I found that there is a contrast between 'red' and 'blackness' in the visual image, and 'island' and 'Seoul' in the spatial image. It is my claim that this image was in the background of the song that was already popular. In particular, the visual and spatial image in the song of Lee Mi-ja contains the expansion of free love following the wave of industrialization, the emotions of separation and sadness, and the emotions devastated by the polarization of urban-rural villages that reveal the difficult lives of the public in the 1960s.

한국어

필자는 대중음악에 나타나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대한민국의 1960년에서 70년대에 이르는 대변혁의 격동기인 산업화시기에서 대중들의 삶을 살펴보겠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 시기를 특징짓는 사건은 5.16쿠데타를 통한 군사정권의 등장과 정부 주도의 강력한 공업화와 산업화의 과정, 그리고 경제 발전을 위한 한일관계의 회복 등, 우리 민족의 근대사에 있어서 획기적인 사건의 연속이었다 하겠다. 이 시기 정권을 잡은 군사정부의 슬로건은 ‘조국근대화’였으며, 여기서의 근대화는 경제개발 5개년계획으로 대표되는 공업화와 도시화였다. 이 시기에 등장한 대중 가수 이미자는 한국의 대중음악계에서 군계일학과 같은 존재이다. 그의 노래 <동백아가씨>는 수많은 대중들의 인기를 받았으며, 동시에 금지가요가 되는 불운을 겪은 노래이기도 하다. 필자는 이미자의 노래에서의 시각적 이미지와 공간적 이미지를 분석해본 결과, 시각적 이미지에서는 ‘붉음’과 ‘검음’의 대비가 그리고 공간적 이미지에서는 ‘섬’과 ‘서울’이라는 공간적 대비가 있다는 점을 밝혀냈다. 이미자의 노래가 인기 있었던 배경에는 이러한 이미지가 있었다는 것이 필자의 주장이다. 특히, 이미자 노래에 자리한 시각적, 공간적 이미지는 산업화라는 물결을 따라 자유연애의 확대와 그로인한 이별과 슬픔의 정서와 1960년대 대중들의 어려운 삶이 드러나는 도시-농촌의 양극화로 피폐해진 정서를 담고 있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면서
2. 이미자론
3. 이미자 노래에서의 이미지 분석
4.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용수 Jung Yong Su. 신라대학교 교양과정대학 조교수(교육전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