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P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중독자의 우울, 스트레스대처능력 및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Relapse Prevention Mode(RP) 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Alcoholics’ Depression, Cap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안혜용, 박경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P 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alcoholics’ depression, cap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by applying the program with alcoholics. In this study, 22 patients hospitalized for alcoholism at B psychiatric hospital located in S city were recruited as the subjects after they consented to participate. Among them, 12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 RP-ba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he RP cognitive therapy program were conducted with them for a total of 15 sessions, twice weekly, for 60 minutes per session. For verifying the results, pretest-posttest was performed for depression, capability to cope with stress, and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PSS WIN 23.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rough pretest-posttest scores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covariance analysis, and mixed 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test-posttest scores on de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and the effect was found at a level equivalent to the pretest-posttes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scores. Second, the pretest-posttest scores on capability to cope with str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nd the effect was found at a level equivalent to the pretest-posttes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scores. Third, the pretest-posttest scores on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nd the effect was found at a level equivalent to the pretest-posttes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scores. Based on this, RP-based group art therapy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to prevent the recurrence of alcoholism with an easier therapeutic approach for alcoholics who are difficult to participate in RP cognitive therapy program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cognitive, emotional, and linguistic functions due to the nature of alcoholism.

한국어

본 연구는 RP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알코올 중독자에게 적용하여 우울과 스트레 스대처능력 및 금주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는 S시 B정 신병원 알코올중독 입원환자 22명 중 실험집단에 12명, 비교집단에 10명을 선정하여 각각 RP기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과 RP인지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각 60분씩 총 15회기를 진행하였다. 결과 검증을 위해 우울, 스트레스대처능력, 금주자기효능감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독립표본 t-test와 공변량분석, 혼합변량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사 전-사후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변화와 동일한 수준의 효과 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스트레스대처능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비 교집단의 사전-사후 변화와 동일한 수준의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금주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비교집단의 사전-사후 변화와 동일한 수준의 효 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알코올중독 특성상 인지적, 정서적, 언어적 기능의 저하로 인해 RP인지치료 프로그램의 참여가 어려운 알코올 중독자에게 RP기반 집단미술치료는 보다 용 이한 치료적 접근으로 알코올중독 재발방지를 위해 폭넓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및 절차
3. 연구도구
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집단의 특성
2. 종속변인 신뢰도 및 집단 간 동질성 검증
3. 집단 내・집단 간 사전-사후검사 비교
Ⅳ.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3.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혜용 An, Hye-Yong.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 박경화 Park, Kyong-Hwa.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