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고령 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재무건전성

원문정보

Social Interaction and Financial Stability of Middle and Old Aged Households

조혜진, 곽민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interaction and financial stability of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in South Korea and conducts a comprehensive contemplation on the influence of social interaction on the household’s financial stability on the basis of the social capital theory. For this purpose, the seven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in 2018 was analyzed and a total of 2,260 household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main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economic interac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was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private transfer. Out of the total subjects, 66.8% received supports from their offspring, parents, or other family members with an average amount of 2.78 million KRW. Meanwhile, 16.2%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provided private transfer of an average amount of 8.94 million KRW. Although the households who receive private transfer occupied the majority share, the average amount of those who provide private transfer was larger than that of the recipient households. In case of the public transfer, 1,601 households (70.8%) received public transfer, implying that most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were receiving benefit from the public transfer. Specifically, 867 households (38.4%) received public pension and 1,158 households (51.2%) received public aid. Second, in an examination of the non-economic interaction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43.9% of the research subjects maintained marital status and the number of offspring that they meet at least once a week was 1.35. Most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were involved in about one social activity. Third,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was investigated using simple indicators,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was 1.99 million KRW, and the average monthly consumption expenditure was 1.43 million KRW. It was found that over 55%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canceled savings in order to solve the lack of consumption expenditure Fourth,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financial ratio index. In case of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index, approximately 51.1% of the households met the conformity standard. In case of debt-related indicators, majority of the households met the conformity standard. On the contrary, very few households met the conformity standard of the total propensity to save index and financial asset weight index. This implies that the middle-aged and elderly households have saving and liquidityrelated problems. Fifth,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the social interaction on financial stability, some variables appeared to be factors affecting financial stability and, the probability to meet the conformity standard of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index and the total propensity to save index was higher when they do not receive private aid.

한국어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고령 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 실태와 재무건전성 수준을 살펴 보고,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계의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고령 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의 7차 자료 중 2,260가계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령 가계의 경제적 상호작용에서 사적이전을 살펴본 결과 자녀, 부모, 기타 가족으로부터 지원을 받 는 가계는 66.8%, 연평균 278.75만원이었으며, 지원을 하는 가계는 16.2%, 평균 894.96만원으로 나타나 지 원을 하는 가계보다 지원을 받는 가계의 비율이 높았으나, 지원을 하는 가계의 평균 금액이 지원을 받는 가계의 평균 금액보다 많았다. 공적이전의 경우에는 공적이전을 수령하는 가계가 1,601명(70.8%)으로 나타나 상당수 의 중고령 가계가 공적이전의 혜택을 받고 있었다. 세부적으로 공적연금을 수령하는 가계는 867명(38.4%)이고, 공공부조를 수령하는 가계는 1,158명(51.2%)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 가계의 비경제적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자의 43.9%가 결혼상태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주 1회 이상 만나는 자녀수는 평균 1.35명이었다. 대부분의 중고령자들이 1개 정도의 사회활동을 하고 있었다. 셋째, 중고령 가계의 재무건전성을 살펴본 결과, 중 고령 가계의 월평균 가계소득은 199.91만원, 월평균 소비지출은 143.15만원이었으며, 부족한 생활비를 해결하 기 위해 55% 이상의 중고령자가 예․적금을 해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무비율지표를 통해 중고령 가계 의 재무건전성을 살펴본 결과, 가계수지지표는 51.1% 정도가 준거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고, 부채 관련 지표들 은 상당수의 가계가 준거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다. 총저축성향지표와 금융자산비중지표는 준거기준을 충족시키 는 경우가 매우 적어서 중고령 가계가 저축과 유동성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사회적 상호작용이 재 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일부 변수가 재무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계수 지지표와 저축성향지표 모두 사적으로 이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충족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중고령자의 범위
2. 사회자본(social capital)
3.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
4. 가계 재무건전성과 재무비율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분석자료 및 조사대상
3. 변수의 측정방법
4. 분석방법
5.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Ⅳ. 연구결과
1. 중고령 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
2. 중고령 가계의 재무건전성 수준
3. 중고령 가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혜진 Cho, Hyejin. 인천대학교 소비자학과 조교수
  • 곽민주 Gwak, MinJoo. 충북대학교 소비자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