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lessandro Michele’s Camp Aesthetics in the Gucci Collection - Based on the David Bergman’s Classification -
초록
영어
A recent exhibition at the New York City Museum of Art raised public interest in camp aesthetics in fashion.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and a case study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camp characteristics in fashion. The first part of the literature research examined the etymology and the origin of camp, and the secondary part examined the queer-gender discourses in order to identify aesthetic features in fashion. David Bergman’s classification was used as a criterion for the analysis of camp, who categorized camp into three types: the visual exaggeration type, the pop camp containing tension with the media, and the gender-ambiguity which implied the denaturalization of traditional gender role. For the case study, Gucci’s new aesthetic expression cases, which achieved innovative success thanks to the replacement creative director, Alessandro Michele, were reviewed for analysis. The works of Michele’s Gucci collection were analyzed based on Bergman’s three types, from which seve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The visual exaggeration typ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epic, retro, and extremeness; the pop camp type showed those of conventionality, and parody; and the gender-ambiguity type showed those of deconstruction and queerness. In the exaggeration type, Michele exaggerated historical costumes, expressed a new retro look, or showed extreme aesthetic expressions. In the pop camp type, he repeated the logo in a popular style, converted seriousness into humor, or parodied the mainstream culture. In the gender-ambiguity type, he visualized queer aesthetics by deconstructing heterosexual gender roles and by featuring androgynous tastes. Michele offered a new aesthetic taste by presenting various camp expressions that may seem noncontextual.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nducted the in-depth discussion of the nature of camp, which was only treated as a subculture, and of the visual and semantic interaction of camp and fashion. Recently various discourse on gender identity has been reflected in fashion works, and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camp aesthetics will continue in the future.
한국어
최근 뉴욕 시립미술관의 전시를 계기로 캠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패션계에서도 캠프에 대한 미학적 고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캠프의 정의 및 기원, 그리고 캠프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통해서 패션에서의 캠프 미학의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캠프의 분석의 틀로는 시각적인 과장성, 미디어와의 긴장감을 가진 팝 캠프, 그리고 전통적인 성의식에서 벗어나는 젠더 모호성이라는 데이비드 버그만의 정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하여, 사례연구로는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알레산드로 미켈레로 교 체함으로써 혁신적인 성공을 거둔 구찌의 새로운 미적 표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캠프에 대한 버그만의 정 리를 근거로 미켈레의 구찌 컬렉션을 분석한 결과, 7가지의 특성이 도출되었다. 과장성 유형은 서사성・레트 로성・극단성을, 팝 캠프 유형은 통속성과 패러디성을, 그리고 젠더 모호성 유형은 해체성과 퀴어성을 보여주 었다. 미켈레의 과장성 유형은 역사적 복식을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새로운 레트로 룩을 보여주거나, 혹은 극단적인 미적 표현을 선보였다. 팝 캠프 유형은 로고를 통속적으로 반복하거나, 심각함을 해학적으로 표현 하거나, 주류 문화를 패러디하였다. 젠더 모호성 유형은 젠더를 해체하고, 양성적인 미적 표현을 통해 퀴어 미학을 선보였다. 미켈레는 비맥락적으로 보일 수 있는 캠프의 특성을 패션 속에 반영함으로써 새로운 미적 취향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하위문화로 여겨지던 캠프를 젠더 정체성의 한 표현으로 다루었다는 점과, 패션과 캠프의 시각적・의미적 상호 작용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이처럼 최근 에는 젠더 정체성과 관련된 여러 담론이 패션 속에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는데, 앞으로 캠프 미학의 구체화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이 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캠프에 대한 일반적 고찰
2. 캠프에 대한 데이비드 버그만의 정리
3. 알레산드로 미켈레의 디자인 특성
Ⅲ. 알레산드로 미켈레의 구찌컬렉션에 나타나는 캠프의 특성
1. 과장성 유형
2. 팝 캠프 유형
3. 젠더 모호성 유형
4. 종합적 논의
Ⅳ.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