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터넷 밈으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 특성 연구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조한아, 김영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d the meme mechanism and evolution process through imitation by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internet-memes and original material ima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rom the evolution process. After analyzing characteristics the original material imag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dimensions of cultural items that people can potentially imitate. As a result, the case of type 1 has decontextual characteristics with the design of discrepancies and inverted structures. The case of type 2 is a design that distorts and deconstructs the form and has operat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intentional transformation. The case of type 3 has the characteristic of visual communication where meanings can be recognized immediately and convey social messages.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meme worthy fashion design derived from the study are structural decontextualization, morphological manipulation and semantic visualization. Fashion that deviates from traditional aesthetics is being designed for the purpose of social media content and is changing from a concept of wearing to a form of popular culture enjoyed.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new changes of trends appearing from modern fash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밈의 개념을 패션 분야에 적용하여 유행의 빠른 확산을 목적으로 디자인되는 패션 아이템의 사례를 분석하고 밈으로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 헌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인터넷 밈의 메커니즘과 모방을 통한 유전, 변이, 경쟁, 선택의 진화 과정을 정리하여 분석 프레임을 설계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패션 관련 인터넷 밈을 구글과 인스타그램 검색을 통해 1차 수집하여 분류 선별하고 역추적하여 원본 디자인을 2차 수집하였 다. 다음으로 원본 이미지와 인터넷 밈을 진화 과정에 적용해서 단계별로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인터 넷 밈 분석 프레임워크에서 제안한 구조, 형태, 의미의 3가지 모방 표현 요소별로 원본을 분류하여 패션디자 인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밈으로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불일치와 반전 구조의 디자인으로 일상적이고 구체적인 맥락에서 이탈한 탈맥락적 특성이 있다. 둘째, 형태를 왜곡하고 해 체한 디자인으로 의도적인 변형을 시도한 조작적 특성이 있다. 셋째, 의미가 즉각적으로 인식되고 특정 문제 의 사회적 충돌에 대한 담론을 교환할 수 있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 밈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은 패션디자인은 구조적 탈맥락성, 형태적 조작성, 의미적 시각성의 특성이 있음을 규명 하였다. 전통적 미학에서 벗어나는 패션은 소셜 미디어 콘텐츠의 목적으로 디자인되고, 입는다는 개념에서 즐기는 대중문화의 한 형태로 바뀌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인터넷 밈을 디자인 혁신의 원천으로 이해하고, 디지털 대중문화로서 패션의 가능성을 조명하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밈의 개념 변화
2. 모방을 통한 밈의 진화
3. 인터넷 밈의 메커니즘
4. 패션 밈 현상
Ⅲ. 인터넷 밈으로 가치가 있는 패션디자인의 특성 분석
1. 연구 설계 및 분석 방법
2. 사례의 유형 분석
3. 분석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조한아 Cho, Han A.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박사수료
  • 김영인 Kim, Young In.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