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패션 액티비즘 - 이상미 해체 현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Fashion Activism in Social Media - Deconstructing the Ideal Beauty -

정수진, 임은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fashion industry, the appearance of plus-size models, senior models, colored race models and disabled models, which have never been seen before, can be seen frequently. Behind this phenomenon is the huge impact of social media. Social media are capable of shar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among users, revealing their identity and individuality, and raising society’s awareness of problems to the surf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shion activism that resists idealism in the social media of an individual, a non-mainstream space. As for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together. Through literature review,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social media and conceptualized fashion activism. Based on above, fashion activism against ideal beauty through social media was analyzed and each case was also analyzed.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limited to the period from 2012 to 2019.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henomenon of deconstructing the size of the body away from the traditional ideal was ‘the body positive movement’ centered on a plus-size model. Second, the phenomenon of disintegrating age in protest of entrenched aesthetic consciousness found the emergence of senior models. Third, non-white people and disabled models emerged as a move to recognize the diversity of beauty following the body positive movement of social media above and the emergence of senior models. With the advent of the Web 2.0 era, fashion-activists resisted the ideal that has become entrenched through social media. Their move has mainstreamized nonmainstream objects in the fashion industry and sought to recognize diversity in beauty. However, it is worth noting whether this movement is a commercial tool to attract public attention in the fashion world. Although it started as a personal non-mainstream movement, it can be thought of in terms of the contradiction and double-sidedness that is promoted to the mainstream of the fashion world after receiving the benediction of fashion. The move has continued since 2012, and we could see that the fashion industry is moving as part of a huge cultural capital and this movement will continue in the future.

한국어

패션계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플러스 사이즈 모델, 시니어 모델, 유색 인종 모델과 장애가 있는 모델 의 등장을 빈번하게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이면에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는 이용자 간 정보 공유와 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자기 정체성과 개성을 드러내고 사회의 문제의식을 수면 위로 떠오르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주류의 공간인 개인의 소셜 미디어 안에서 이상미에 저항하는 패션 액티비즘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패션과 소셜 미디어의 관계를 고찰하고, 패션 액티비즘에 대해 개념화하였다. 이를 바탕으 로 소셜 미디어를 통한 이상미의 패션 액티비즘을 유형화하여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인 이상미에서 벗어나 작은 몸의 사이즈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하는 현상으로는 플러스 사이즈 모델을 중심으로 나타난 자기 몸 긍정주의 운동이 대표적이다. 둘째, 고착화된 미의식에 저항하며 나이를 해체한 현상은 시니어 모델들의 등장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유색 인종 모델과 장애 모델은 소셜 미디 어의 발전으로 앞서 고찰한 자기 몸 긍정주의 운동과 시니어 모델의 등장에 뒤이어 미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자 하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웹 2.0 시대가 도래하고, 패션 액티비스트들은 소셜 미디어를 통하여 고착화된 이상미에 저항하였다. 그들의 움직임은 패션산업에서 비주류의 대상을 주류화하였으며 미의 다양성을 인정 받고자 노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움직임이 패션계에서 대중의 관심을 받고자 하는 상업적 도구로 활용되는 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개인적인 비주류 움직임으로 시작되었지만, 패션이라는 축성을 받아 패션계의 주 류로 편승하는 모순성과 양면성을 띠는 측면에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2012년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거대한 문화자본 일부로 패션산업을 움직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도 이 러한 움직임은 지속될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패션과 소셜 미디어의 관계
2. 패션 액티비즘
3. 패션의 고착화된 이상미
Ⅲ. 소셜 미디어를 통한 패션액티비즘의 유형
1. 사이즈의 파괴: 자기 몸 긍정주의 운동
2. 연령의 파괴: 시니어 모델의 등장
3. 유색 인종과 장애 모델의 등장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정수진 Chung, Soo Jin.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석박통합과정 수료
  • 임은혁 Yim, Eun Hyuk.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