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effect of QE training on novice golfer’s sloped putting accuracy and visual behavior strategy. Total of 15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QE training group (5), motion training group (5), control group (5). The experiment have conducted in the sequence of pre-test(10 trials), acquisition phase(50 trials), retention test(10 trials). Putting accuracy(absolute error), QE duration, QE-dwell time, rate of visual fixation time have selected for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E training group have outperformed in putting accuracy. Second, QE training group have shown longer QE duration in both of practice and retention. Third, QE training group have shown longer QE-dwell time compared to other groups. Forth, the rate of visual fixation time were no difference in the pre-test. However, QE training group tend to focus more on the putting line, virtual target, breaking points after practice and retention test. Through this study,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the QE training has significant beneficial learning effect on the sloped putting accurac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QE 훈련이 초보 골퍼의 시선행동전략과 경사면 퍼팅 정확성에 미치는 학습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총 15명의 연구 참여자는 QE 훈련 집단, 동작 훈련 집단, 통제 집단으로 구분되어 각각 5명씩 무선할당 배정되었 다. 실험은 사전검사(1분단), 습득단계(5분단), 파지검사(1분단)의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분단별로 10회의 경사면 퍼팅 과제가 시행되었다. 종속 변인은 퍼팅 정확성(절대오차), QE 지속시간, QE-dwell 지속시간, 시선고정시간비율 (%)로 선정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퍼팅 정확성의 절대오차는 QE 훈련 집단이 세 집단 중 가장 우수하게 향상되었으며 이러한 차이는 습득단계 이후의 파지검사에서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둘째, QE 지속시 간은 QE 훈련 집단이 동작 훈련 집단과 통제 집단보다 더욱 길어졌으며, 파지검사에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QE-dwell 지속시간도 QE 훈련 집단에서 가장 길게 나타났으며, 파지검사에서 더욱 길게 유지되었다. 넷째, 시선고정시 간비율은 사전검사에서 세 집단 모두 공, 홀컵, 퍼터, 퍼팅라인, 기타영역에 시선이 고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습득단계 이후와 파지검사에서는 QE 훈련 집단의 공, 퍼터, 기타영역에 대한 시각적 주의가 줄어들었으며 상대적으로 퍼팅라인, 가상목표, 경사지점에 시선고정시간비율(%)이 높아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숙련자의 시각적 주의 행동 전략을 학습 하는 QE 훈련이 초보 골퍼의 경사면 퍼팅 정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과제 및 도구
3. 퍼팅 훈련 프로그램 (QE 훈련 & 동작 훈련)
4. 실험 절차
5. 자료분석 및 통계처리
Ⅲ. 연구결과
1. 퍼팅 정확성
2. QE 지속시간
3. QE-dwell 지속시간
4. 시선고정시간비율(%)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