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oday,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the gym is a space for students to support outdoor activities, where they can enjoy greening, relaxation, play and exercise. After the same period when school playgrounds and gymnasiums were recognized in the same sens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have been enacted and revised, and school playgrounds are on the decline in area due to various space expropriation, and school playgrounds are becoming less effective and efficient. In order to improve this phenomenon, the meaning of the stadium will be re-examined and the school playground will be restructured. To this end, the criteria for domestic and foreign school ground were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education courses in element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was analyzed by the area and classification technique of Spradley (1979) by collecting data through relevant purpose sampling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the school ground is being reconcepted from a physical fitness space to a complex space of life. Second, it is changing from an outdoor teaching space in a particular school to an outdoor teaching space where convergence education is possible. Third, the absolute lack of space in the school ground requires the efficiency of space utilization to accommodate social needs. Fourth, the space restructuring of school playgrounds should be preceded by securing a budget according to the purpose. Fifth, the space restructuring of school playground should be promoted as a shared space for schools and communities.
한국어
오늘날 초․중등학교에서 체육장은 학생들의 옥외활동 지원공간으로서 녹지와 휴식, 놀이와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 이다. 학교운동장과 체육장이 동일한 의미로 인식되던 시기를 지나, 관련 법 규정이 제정ㆍ개정되어 오면서 학교 체육장은 다양한 공간 수용으로 면적 감소 추세에 있으며, 학교운동장은 그 효용성과 효율성이 낮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 하고자 체육장의 의미를 재조명하고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 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체육장 기준을 문헌고찰로 살펴보고, 현행 초ㆍ중등 체육과 교육과정이 체육장에 적용되고 있는 실태를 유목적 표집과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수집을 하여 Spradley(1979)의 영역 및 분류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장의 개념은 체력 향상의 공간에서 생활의 복합 공간으로 재개념화 되고 있다. 둘째, 특정 교과의 옥외 교수학습공간에서 융합 교육이 가능한 옥외 교수학습 공간으로 변화되고 있다. 셋째, 체육장의 절대 공간 부족은 사회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요구된다. 넷째, 학교운동장의 공간 재구조화는 목적에 따른 예산 확보가 선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교운동장의 공간 재구조화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공유 공간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1. 체력에서 생활로
2. 독자 공간에서 융합교육 공간으로
3. 분할과 공유의 공간으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