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n sleep disorder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400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lived in four regions of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Jeolla-do, and a final analysis of 388 data except 12 copies lacked consistency in response. Used fo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pply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equation through SPSS and Amos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health care, a sub-factor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did not affect sleep disorders. Second, external activity, a sub-factor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sleep disorders. Third, physical activity, which was a sub-factor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d a partial negative effect on sleep disorders. Through these studies,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has been shown to alleviate sleep disorders.
한국어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권, 충청권, 전라권의 4개 권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체장애인 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된 12부를 제외하고 총 38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구조모형방정식을 적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출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건강관리는 수면장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대외활동은 수면장애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행동의 하위요인인 신체활동은 수면장애에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체장애 인의 건강증진행동이 수면장애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체장애인의 건강증진 행동을 이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4. 조사절차
5. 자료처리
Ⅲ.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2. 측정모형의 적합도 평가
3. 구조모형의 적합도 평가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