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solution to the problems arising from NCS utilization process by examining NCS competency unit components, setting standard for the size of competency unit, and duplication of competency unit.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NCS development, utilization and its problems arose in Korea and examines Australian case. Then, experts' group and advisory conference were carried out with professionals to specify and validate the improvement measures. The result were discovered to be as follows: First, NCS competency unit components require revision of the NCS development Manual, including changes in terms for each component item, clarifying the descriptions of concepts and development methods, and changing the structure. In addition, reorganization of the assessment guidelines for competency unit and revision of vocational basic skills reflecting changed industrial sites are required. Second, it is required to develop the common job competency at the request of industry and utilization area for resolving the duplicative competency units.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derive an industry-specific common competency unit through redundancy review of content of competency units. Third, a setting criteria for the size of competency units needs to be specified to resolve its unclear limitation. Training standards(draft) in utilization package also needs to clarify the criteria for setting training time in terms of the target, method and level of achievement.
한국어
이 연구는 NCS의 구성요소, 능력단위 크기 설정기준, 능력단위 중복에 대한 검토를 통해 NCS 활용장 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의 해소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우리나라 NCS 개발과 활용의 추진 현황 및 문제와 호주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 회와 자문회의를 개최하여 개선 방안을 구체화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NCS 구성요소는 각 항목별 용어 변경과 개념, 개발방법에 대한 설명의 구체화와 구조 변경을 포함한 NCS 개발 매뉴얼 개정이 필요하며, 능력단위 평가지침의 재구조화 및 변화된 산업현장을 반영한 직업기 초능력의 개정이 요구된다. 둘째, NCS 능력단위 중복 문제는 산업계ㆍ활용분야 요청에 따른 공통 직무 수행 능력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능력단위 내용의 중복성 검토를 통해 전반적인 산업별 공통능력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능력단위 크기는 기존의 불명확한 능력단위 설정기준을 한정하는 구체화가 필요하며, 활용패키지의 훈련기준(시안)에서 제시하는 능력단위별 훈련시간의 설정 기준 또한 훈련의 대상, 훈련방법, 성취수준 관점에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결론에서 제시된 능력단위 구성요소 의 개선 방안의 현실 적용을 위해 다음의 사항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첫째, 능력단위 구성요소와 크기 설정기준 개선에 대한 매뉴얼 및 지침의 개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NCS 개발․개선 참여 인력 대상의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NCS의 활용은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추진되므로 이를 고려 하여 NCS 소분류 또는 그 이상의 수준에서 NCS 개발ㆍ개선이 추진되도록 관리하여 능력단위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필요하다. 셋째, 공통 직무수행 능력 개발을 위한 방법론과 NCS 활용에서의 공 통능력 운용을 위한 규칙 등의 운영 방식 마련을 위한 별도의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NCS 개발 현황 및 호주 사례
1. NCS 개발 및 활용의 현황
2. 호주 훈련패키지(Training Package) 사례
Ⅲ. 연구 방법
1. 문헌 분석
2. 전문가 협의회
3. 전문가 자문회의
Ⅳ. 연구 결과
1. NCS 구성요소
2. 능력단위 중복
3. 능력단위 크기
Ⅴ. 결론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