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및 국가역량체계(KQF)의 과거, 현재 및 미래

원문정보

Past, Present and Future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Korean Qualification Framework

어수봉, 이승, 전승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agnose the past and present aspects of NCS and KQF, and to propose future implementation tasks for stable settlement and spread of NCS and KQF. NCS is a systematic version of the knowledge, technology, and aptitude required to perform jobs at industrial sites, and the development began in 2002. In 2016, the government enacted the “NCS Notice”. NCS has been developed by 79 divisions, 253 sections, and 1,001 subsections in 24 categories. KQF refers to a level system that allows academic background, qualifications, field experience, and completion of education and training, and KQF of eight level systems was announced in February 2019. Major issues in terms of NCS include ① standardization of NCS competency units, ② NCS level system, ③ systematiza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Major issues in terms of KQF were summarized as ① feasibility review and improvement for KQF, ② specification for securing equivalence between job competencies, ③ scope of recognition of job competencies. Future tasks were divided into ①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KQF and SQF, ② establishment of the KQF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③ completion of NCS-based qualification system, ④ efficiency of NCS development and utilizatio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NCS 및 KQF의 과거 및 현재의 모습을 분석․진단하고, NCS와 KQF의 안정적 정 착 및 확산을 위한 미래의 추진 과제를 제안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 및 전문가협 의회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 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2002년부터 개발이 시작되었다. NCS는 2016년 24개 대분류의 847개 세분류를 담은 ‘국가직무능력표준 고시’를 제정하였으며, 이후 보완 과정을 거쳐 24개 대분류 내 79개 중분류, 253개 소분류, 1,001개 세분류가 개발되어 활용 중이다. 한편, KQF는 NCS 등을 바탕으 로 학력, 자격, 현장경력 및 교육훈련 이수 결과 등이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한 수준체계를 의미하며, 지식, 기술, 자율성과 책무성 등을 구성요소로 하는 8개 수준체계의 KQF가 2019년 2월 고시된 바 있 다. NCS 개발 및 활용 측면에서의 주요 이슈는 ① NCS 종목 및 능력단위의 표준화, ② NCS 수준 (level) 체계, ③ NCS기반 국가자격 체계화 등으로, KQF 구축 측면에서의 주요 이슈는 ① KQF 체제에 대한 타당성 검토 및 개선, ② 직무역량간 등가성 확보를 위한 가이드라인 구체화, ③ 직무역량 인정의 범위 등으로 요약하였다. NCS 활용 확산 및 KQF 체제 구축 관점에서 미래의 과제는 ① KQF 및 SQF 의 구축과 활용 확산, ② 정부의 KQF 운영 및 관리체제 구축, ③ NCS기반 자격체계 완비, ④ NCS 개 발 및 활용의 효율화 등을 제안하였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 방법
Ⅱ. NCS 개발 및 활용, KQF 구축 현황
1. NCS 개발 경과 및 현황
2. NCS 활용 현황
3. KQF 구축 현황
Ⅲ. NCS 및 KQF의 개발, 활용 측면에서의 주요 이슈
1. NCS 및 NCS기반 자격 성과관리 주요 추진경과
2. NCS 개발 및 활용 측면에서의 주요 이슈
3. KQF 구축 측면에서의 주요 이슈
Ⅳ. 미래의 과제: NCS 활용 확산 및 KQF 체제 구축 관점에서
1. KQF 및 SQF의 구축과 활용 확산
2. 정부의 KQF 운영 및 관리체제 구축
3. NCS기반 자격체계 완비
4. NCS 개발 및 활용의 효율화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어수봉 Soo-Bong, Uh.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 이승 Seung, Lee. 대림대학교 교수
  • 전승환 Seung-Hwan, Jeon.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