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직업계고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및 학과 비교ㆍ분석

원문정보

The Study of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NCS-base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Departm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이영민, 송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NCS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to draw up problems, find necessary tasks and seek policy support measure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it confirmed that the size of human resources training in important areas of future industries is also decreasing. Second, we could see that the departments of traditional equipment and manufacturing were increasing. Third, NCS-based practical subjects were concentrated in the third grade. Fourth, few subjects were organized to foster digital competency, which is the core competency of future society. Fifth, it was shown that the unit of completion of the general department based on the training of basic education and vocational basic skills gradually decreased gradually. The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at the following: First, the quality assurance measures for student competency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we need to establish teaching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cultivating digital capabilities. Third, a balanced curriculum should be designed for each grade. Fourth, it should be a future-oriented NCS-based curriculum that reflects trends in future industries. Fifth,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measures to measure students' ability to evaluate their basic learning capabilities and basic vocational skills.

한국어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이후 NCS 교육과정으로 명명)이 2018학년도 1학년부터 전면 적용되어 2020학년도에는 3개 학년 모두에게 적용되고 있다. NCS 교육과정이 직업계고에 성공적 착근을 위하여 다양한 지원과 투입이 이루어왔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면적용 2년차인 2019학년도와 완성년도인 2020학년도간에 직업계고 NCS 교육과정 편성실태를 비교⋅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NCS 교육과정 의 적용에 요구되는 과제가 무엇인지 탐색하여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587개 직업계고의 교육과정 편성표를 전수 수집하였고, 학과 변동 상황과 교과의 편성에 대한 실태와 문 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래 산업에서 중요한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는 영역임에도 인재양성 규모를 축소하는 영역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적인 장치 및 제조분야 인재 양성학과가 증대되어 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 NCS 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인 실무과목의 편성 이 3학년에 편중되어 있었다. 넷째, 미래산업사회에서의 핵심역량인 디지털역량을 배양하기 위한 교과목 편성이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다섯째, 직업계고 학생들의 기초역량과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근간이 되는 보통교과의 이수단위를 점점 감축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태와 문제점을 극복하고 직업계 고에서 NCS 교육과정이 선순환적으로 지속가능하게 작동되어 NCS 기반 교육과정의 기본 취지인 교육 과 자격 및 일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역량에 대한 질보장 수단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역량을 배양해 줄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개발과 교육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학년별로 균형잡힌 교육과정이 설계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과정 설계 시 미래 산업의 트 렌드를 반영하여 미래지향적인 NCS 기반 교육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학생들 의 기초학습역량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는 역량 측정 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 분석
2. NCS 교육과정에서 인력 양성
3. 직업계고 NCS 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2. 조사도구 및 내용
3.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직업계고의 NCS 교육과정 편성 실태 및 문제점
2. 직업계고 NCS 교육과정 효과성 제고를 위한 과제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민 Youngmin Lee.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위원
  • 송낙현 Nakhyun Song. 교육부 교육연구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