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NCS 기반 능력중심채용의 신규채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25개 공공기관 채용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Recruiters selected through NCS Based Recruitment System : Newly hired employees in 25 Public Organization

김연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find implication for future job seekers by analyzing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newly selected employees in all public organization/enterprise, which introduced the competence based recruitment in accordance with the extention to all 323 public organization/enterprises. Analyzed data have been collected through survey using T-test, Anova, hierarchical analysis. And The result from those analysis is as below. First, government should do far more to ensure secure procurement of information about the competence based recruitment to job seekers. Second, government should let job seekers to have specification only what they need to equip the competence. Third, government should find way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introduction, tools’ suitability for recruitment and efficiency in job seeking. Finally, government should let more people know NCS’s adaptability in enhancemen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introduction, tools’ suitability for recruitment and efficiency in job seeking for making private sectors introduce NCS. These result of research is expected to be essential baseline data for policy making related to introducing the competence based recruitment.

한국어

무한경쟁 시대에 국가역량의 경쟁력 향상과 유지를 위해 우수한 인재를 육성하고 선발하는 것은 중요 하다. 수요적 측면에서 산업현장에서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 반면, 공급적 측면에서 청년들은 산업현장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 적은 국정과제로 추진된 능력중심채용이 2015년에 130개 기관, 2016년에 230기관에서 2017년에는 332개 전체 공공기관으로 확대됨에 따라 능력중심채용을 실시한 공공기관의 신규채용자를 대상으로 특 성, 채용에 대한 인식, 이해도를 분석하여 취업준비생에게는 능력중심채용을 준비하는 참고자료이며 정책 결정자에게는 능력중심채용의 정책결정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해 1,000부 중 369부를 회수하여 수집된 자료의 오류를 검토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ANOVA검정,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고 유의수준 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부는 취업준비생들에게 정보의 불일치를 해결할 수는 능력중심채용에 관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정부는 취업준비생들이 숙련의 불일치 해소, 불필요한 스펙 쌓기에 소요되는 시간, 비용을 제거하 여 직무에 꼭 필요한 스펙을 습득하도록 추진해야 한다. 셋째, 정부는 공공기관에서 민간기업까지 능력중 심채용이 확대되도록 직무이해도 증진, 효율적 수행을 위하여 기업에 적합한 맞춤형 채용도구를 설계하 여야 한다. 넷째, 정부는 NCS 기반 능력중심채용을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에서 해당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최적의 채용도구임을 규명하고 홍보하여야 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검토
1. 능력중심사회 개념
2.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념과 활용
3. 능력중심채용 시스템
Ⅲ. 연구 방법
1. 연구 모델
2. 자료수집 및 특성
3. 조사도구
Ⅳ. 연구 결과
1. 능력중심채용자의 특성
2. 능력중심채용에 대한 인식
3. 상관관계 분석
4. 회귀분석
Ⅴ. 결론 및 논의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연홍 Yeon-hong, Kim. 한국산업인력공단 차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