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지역축제 평판이 지역 원산지 명성, 지역 브랜드 태도,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Local Festival Reputation on Place-of-Origin Prestige, Local Brand Attitude and Revisit Intention

우승균, 최우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lobally renowned festivals, such as Bordeaux Wine Festival, Qingdao International Beer Festival, Boseong Green Tea Festival, and Icheon Rice Culture Festival, have become famous local festival brands by offering a wide range of festival events and programs including activities, food, and workshops. Given how the reputation of a local festival is a multifaceted accumulation of strong beliefs, it improves visitor satisfaction and has positive residual impacts on brand loyalty and viral marketing. Empirical analysis reveals, first, that a local festival’s reput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opularity of a local area. In particular, the four factors festival’s achievements, immersive experiences, subject, and accessibility out of the six that determine a local festival’s reputation, have a huge impact on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a local area. Second, such popularity is likely to improve the attitude of local brands. Third and last, this popularity also has a good influence on people’s willingness to revisit the area. Therefore, this research affirms that the good reputation of a local festival and visitor satisfaction generate a virtuous cycle of increasing the popularity of a local reason, building brand favorability for local products, and affecting people’s willingness to visit the area again.

한국어

세계적으로 유명한 보르도 와인 페스티벌, 칭다오 국제 맥주 축제를 비롯해 국내의 보성 녹차 축제, 이천 쌀 문화축제 등은 모두 다양한 즐길 거리, 먹을거리, 체험상품 등 우수한 축제 콘텐츠와 프로그 램 진행을 통해 대표적인 지역축제 브랜드로 발전하였다. 지역축제와 관련된 평판의 개념은 다차원적 이고 누적된 평가이며 신뢰도가 높은 정보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참여자들의 만족도를 높여 해당 지 역 축제에 대한 충성도 및 자발적 구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 역축제에 대한 호의적인 평판이 지역 원산지 명성을 강화시키고 해당 지역 상품에 대한 브랜드 태도 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지역축제 평판의 구성요인을 6가지 차원으 로 세분화하여 관련된 변수들과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지역축제 평판이 지역 원산지 명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지역축제 평판에 관한 6가 지 구성요인 중 시설 만족과 운영 조직을 제외한 축제 성과, 축제 몰입, 축제 소재, 접근성 4가지 요인 이 지역 원산지 명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 원산지 명성은 지역 브 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 원산지 명성이 재방문 의도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지역축제에 대한 호의적인 평판과 만족이 지역 원산지 명성을 강화시키고 해당 지역 상품에 대한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와 재방문 의도 까지 유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지역축제 평판
2. 지역 원산지 명성
3. 지역 브랜드 태도
4. 재방문 의도
Ⅲ. 연구 설계
1. 연구모형 및 가설 설정
Ⅳ. 실증분석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항목
2. 자료 수집 및 표본의 특성
3.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 연구 가설 검증 및 분석
Ⅴ. 결론
1.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구성개념 측정 문항

저자정보

  • 우승균 Seung Kyun Woo. 부산대학교 취업전략과 강사
  • 최우영 Woo-Young Choi.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