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사회가 가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가족행복종합지수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Community on Family Relations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Family Happiness Composite Index in Korea

오영은, 추주희, 고광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family-friendliness of the reg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lations and the community environment, and objectively comparing the local environment surrounding the family. To this end, we reviewed the areas of socio-cultural and economic sectors that affect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in particular, analyzed the trend of changes in regional index by utilizing the Korean Family Happiness Composite Index (KFHCI) developed as a community indicators. This index utilizes community indicators published in the National Statistical Portal's “e-Region indicators,” and these variables are related to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seven areas of the Family Happiness Composite Index (Population Family, Health Culture, Education, Income Consumption, Employment Labor, Housing Transportation, Environment and Social Integration) by region, and examined the trends for 10 years. According to the study, the average score of KFHCI's entire region was rising from 2008 to 2018. Overall, the community environment that affects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is also improving. The regions belonging to the upper level were Jeonnam, Gangwon, Chungnam, Jeonbuk, and Gyeongbuk. Areas belonging to the lower level are Seoul, Busan, Daegu, Incheon, and Gwangju. In almost sectors, the lower-level regions did not have sufficient physical infrastructure compared to population density and over-density, and improved little by little, but not enough to reflect the needs of local people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the future, we should develop more regular and complementary indicators to develop customized policies for each region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family relationships. It will also be necessary to study the impact of each index field when a socioeconomic crisis occurs due to social disasters, and try to change indicators

한국어

이 연구는 가족관계와 지역사회 환경의 관계를 살피고, 가족을 둘러싼 지역 환경을 객관 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지역의 가족친화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가족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화적, 경제적 차원의 영역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지역사회지 표로 개발된 한국가족행복종합지수(이하, 종합지수)를 활용하여, 지역별 종합지수 변화 추 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종합지수는 국가통계포털의 「e-지방지표」에서 공시 한 지역사회지표를 활용하였으며, 이 변수들은 가족관계만족도와 연관된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가족행복종합지수의 7개 영역(인구가족, 건강문화, 교육, 소득소비, 고용노동, 주거 교통, 환경 및 사회통합)을 비교하여 10년간 추이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2008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종합지수의 전국 평균점수는 점점 상승하고 있었 다. 전반적으로 가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지역사회환경 역시 개선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상위레벨에 속한 지역은 전남, 강원, 충남, 전북, 경북으로 비수도권 및 농촌권역이었 다. 하위레벨에 속한 지역은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로 모두 특광역시로 대도시권역이 다. 전반적으로 하위레벨에 속한 지역들은 인구 밀집 및 과밀도에 비해 관련 물리적 인프 라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조금씩 개선하고 있었으나, 지역민의 욕구를 반영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만큼은 아니었다. 향후 가족관계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각 지역별 맞춤형 정책 마련을 위해서 보다 정기적이고 보완된 지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재난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위기가 각 영역별, 지역별 미친 영향과 향후 변화추이를 지속적으로 검토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1.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2. 연구방법
Ⅲ. 지역별 가족행복종합지수 비교 분석
1. 지역별 가족행복종합지수 추이 : 2008-2018
2. 지역별·영역별 수준 비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영은 Oh, Youngeun.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추주희 Choo, Joohee·ko.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고광이 ko, kawangyee.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