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불교와 도교의 交涉과 攝受 - 조선후기 神衆圖의 신선 도상 수용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Negotiation and Absorb of Buddhism and Taoism - Focusing on Development of the Iconography Taoist immortals of Paintings of Buddhist Guardian Deities -

불교와 도교의 교섭과 섭수 - 조선후기 신중도의 신선 도상 수용을 중심으로 -

김현중(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aoism in Korea has not spread to folk belief, and is the center of consciousness for peace and prosperity in the royal family. During the Goryeo Dynasty, rituals were held in the Taoist temples such as BokwonGoong(福源宮), SingyukJeon(神格殿), and GuyoDang(九曜 堂). During the Joseon Dynasty, several Taoist temples were merged into SogyukJeon(昭格 殿). Around the 16th century, public institutions-oriented Taoist institutions were abolished and no longer exis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aoism" was centered on the hermites and they focused more on training than on ritual activities. In addition, the literacy class of the late Joseon Dynasty recognized internal alchemy(內丹法) as a practice of Taoism as positive spirit-nurturing life(養生術). They admired the Taoist immortals and the ideal world, and described it as a literary and artistic work. And the common people believed in Immunal as the object of pray for good fortune. The Paintings of Buddist Guardian Deities of the late Joseon Period served as a prayer for longevity and good fortune. Buddhism accepted this trend, and Taoist immortals motifs and iconographic appear in temple murals and paintings of Buddist Guardian Deities. The Taoist immortals, which appears in the late Joseon period's esay, lives in deep mountains and does not age or die. The Taoist immortals lived in temples and hermitages, and looked like a high priest. These ideas of the Taoist immortals were the same with the monks. Characters such as Dongbin Lü, Zhōng lí Quán and Tie kuai-Li who are familiar to ordinary people and monks, were accepted as Buddhist Guardian Deities.

한국어

우리나라의 도교는 민간신앙으로 성행하지 못하고, 왕실의 안녕과 번영을 희구하는 科儀的 도교로서 존재했다. 그러나 이마저도 16세기 무렵 혁파되어 조선후기에는 국가기관 위주의 관방 도교가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조선후기 도교의 흐름은 재야에 은거하는 隱士들이 중심이 되었 으며, 이들은 의례중심의 과의적 도교보다는 內丹수련에 몰두하는 수련적 도교에 매진했다. 또한 조선후기 식자층은 도교의 수행법인 內丹法을 養生術로 인식했고, 양생을 통한 불로불사의 존재 인 신선과 이상세계인 仙界를 문학과 미술 작품을 통해 동경했다. 그리고 서민들은 초월적 존재로 서의 신선을 祈福의 대상으로 신앙하였기 때문에 조선후기의 神仙圖는 장수와 복을 기원하는 祝 壽畵 또는 吉祥畵로서의 기능을 했다. 불교는 이러한 경향을 받아들여 사찰벽화로 신선의 모티프 를 수용했고, 신중도에 신선을 수용하기에 이른다. 조선후기 小品文을 통해 확인한 신선에 대한 이미지는 깊은 산에서 불로불사의 삶을 영위하는 超人이었으며, 신선은 寺庵이라는 공간에서 고승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신선에 대한 관념 은 조선후기 불교와 도교의 경계가 모호한 상황에 있던 승려들도 마찬가지였고, 문학과 예술을 통 해 조선후기 서민들과 승려들에게 친숙한 신선들을 신중도는 불교의 호법신으로 수용했다. 조선후기 신중도는 불교와 가까운 신선인 여동빈의 도상을 많은 작품에서 적극적으로 수용했 다. 이에 비해 종리권은 소수의 작품에서만 도상을 살필 수 있다. 철괴리는 18세기 무렵 성행한 춤 인 鐵拐舞를 통해서도 세간에 널리 알려진 신선이었으며, 이 시기 활발히 제작되었던 신중도에 수 용되었다. 신중도에 수용된 철괴리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화보류의 도상이나 일반회화의 鐵拐圖 도상과 명확히 일치하지 않지만, 도상적 특징인 절름발이 자세와 還魂하는 연기가 표현된 호로병 이 묘사되었다. 조선후기의 불교는 당대의 타종교인 유교와 도교 그리고 巫敎에 유연한 자세를 가지고 있었 고, 서민들이 신앙하는 타종교를 수용하는데 적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이러한 경향은 신중도에 도교의 신선을 수용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신선이 유희하는 장소, 靈山古刹
Ⅲ. 신중도의 神仙 도상 수용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현중(현주) Kim Hyunjoong. 대한불교 조계종 포교원 사무국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