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two Buddhist paintings, Vairocana Buddha Preaching and the Buddhist Guardians in Panjeon Hall(板殿) of Bongeunsa Temple(奉恩寺) in Seoul. These paintings were produced in the late 19th century,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From 1855 to 1856, the monks of Bongeunsa Temple made thousands of wooden boards of the Avatamsaka-sutra(華 嚴經) and built Panjeon, a hall to store them. And in the following year, 1857, they produced the Buddhist Guardians(神衆圖) composed of 39 deities and hung it on the wall of the Hall. Afterwards, the Panjeon was renovated and expanded in 1878, and in 1886, Vairocana Preaching(毘盧遮那說法圖), main Buddha of Avatamsaka Pantheon was produced and hung on the center of the hall. The painting, the Buddhist Guardians was supervised by the monk Sewon(世元) under the influence of Venerable Younggi(永奇), who had led the affairs of wood blocks of Buddhist Sutra and the Hall, Panjeon. Next, the under drawing of Vairocana Buddha was painted by the monk Eung-suk(應釋), and the monk Eungyu(應奎) confirmed finally. This painting is very characteristic of composition and composition. I think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apabilities of the two monks. The patron of the Buddhist Guardians is unknown, but Vairocana Buddha was sponsored by 15 court official Ladies. Bongeunsa Temple has been actively supported by the royal family since the 15th century. Moreover, the royal family actually financed the woodblocks of the scripture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anjeon Hall. Due to this background, it is believed that the court official ladies supported. The papers with a wish were added to the two pictures.. By the way, the term ‘水月道場空花佛事’ was written on the papers. ‘Suwoldoryang Gonhuabulsa’ mean that everything is accomplished by hetu-pratyaya, and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thought of Avatamsaka-sutra.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 of the ritual which was dominated by the Venerable Bowu(普雨), who was the representative monk and master of Bongeunsa Temple in the 16th century. Bongeunsa temple is a representative royal sponsored temple in Joseon Dynasty. And it was a temple where great monks were active. This status is reflected in the picture of Panjeon Hall. At that time, the status of this temple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tyle of painting, the leading monks and patrons, and the ritual.
한국어
서울 奉恩寺 板殿에는 <비로자나설법도>와 <신중도>가 봉안되어 있다. 1855-1856년 경판 조 성과 판전이 건립된 후, 1857년 <신중도>를 봉안했으며, 이후 1878년 건물을 보수, 증축하고 1886 년에 주불도로 <비로자나설법도>를 봉안했다. 판전에는 80화엄 경판이 일괄 봉안되어 있는데, <신중도>는 ‘39위 華嚴神衆’, <비로자나설법도>는 ‘華嚴敎主 毗盧遮那佛’을 주존으로 한 그림이 라는 점에서 건물의 성격과 명확히 부합한다. 이 그림들은 존상의 형상은 물론 필선과 채색에서도 뛰어난 畵法이 확인되며, 무엇보다 圖像이 명료할 뿐만 아니라 독자적이다. 이는 당시 저명 화사 와 증명 법사를 동원할 수 있었던 봉은사의 사세와 연관이 깊다. <신중도>(1857)는 판전 불사를 발원, 주도했던 南湖永奇의 영향력 아래 月霞世元이 주관해서 그린 그림이다. 그리고 <비로자나설법도>는 出草 화사 慶船應釋과 證明 虎奉應奎의 역할이 주요 했다. 후원자의 경우, <신중도>는 화기가 손상되어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어려웠으나, <비로자 나설법도>의 경우 尙宮들이 15명 올라있어 주목된다. 봉은사의 경우는 15세기부터 王室의 적극적 인 후원을 받았던 대표적인 願刹이다. 더욱이 조선 말 경판과 판전 불사 때 왕실에서 실제 內帑金 을 지원한 바 있어, 상궁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고 여겨진다. 이 그림들의 원문에는 모두 ‘(水月 道場)空花佛事’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이는 16세기 봉은사의 대표적인 승려이자 주지였던 虛應普 雨와 道場 儀式 전통과 연관이 깊다. 奉恩寺는 명실상부 조선의 대표적인 왕실 원당이자 후원 사찰이다. 그리고 虛應普雨를 비롯 해 高僧 大德이 활약했던 명찰이기도 하다. 이러한 위상은 판전의 불화 <비로자나설법도>와 <신 중도>에도 반영되어 있으며, 판전의 불사 추이, 불화의 화풍, 제작 주체와 후원자, 불화 불사와 의 식의 성격 등을 통해 다각도로 확인할 수 있다.
목차
Ⅱ. 板殿 佛事와 佛畵의 奉安
Ⅲ. 佛畵의 내용과 화풍
Ⅳ. 佛畵의 제작과 후원
Ⅴ. 板殿 佛畵와 ‘水月道場空花佛事’
Ⅵ.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