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 역할갈등, 호혜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 Focused on Emotional Labor, Role Conflict, and Reciprocity

이수진, 김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nursing emotional labor, role conflict, and reciprocity on turnover intention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nurses. 209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across 13 hospitals in G and M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research model explained 52.9%(F=14.458, p <.001) of intention to turnover.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as emotional labor(β =.311), followed by reciprocity and role confli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ces and guidelines to protect nurses who encounter various situations in the process of emotional labor, and to implement a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intain friendly and equal relationship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감정노동, 역할갈등, 호혜성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및 M시 소재 13개 병원에서 근무 중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 209 명이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모델은 이직의도의 52.9%를 설명하였고(F=14.458, p <.001),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는 감정노동(β =.311) 이었고, 호혜성, 역할갈등 순으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과정 중 경험하는 다양한 사례에서 간호 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치와 지침 마련이 필요하며, 우호적이고 평등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인적자원 관리 시스 템의 꾸준한 시행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 변수의 차이
3.3 대상자의 감정노동, 역할갈등, 호혜성, 이직의도간의 상관관계
3.4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수진 Soo-Jin Lee.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강사
  • 김은아 Eun-A Kim.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