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애 청소년의 작업 균형과 시간 사용 만족감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Occupational Balance and Time Us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박아름, 차태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used the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o analyze the time use of disabled youth and their self-satisfaction with it by their type of occupation. Methods : Using raw data extracted from Statistics Korea, 84 disabled youth from 10 to 24 years old were re-classified into six occupational areas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OTPF)-3. The occupational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ime use by individuals based on data from Statistics Korea. Finally, according to the type of occupation, self-satisfaction with the use of time was identified. Results : The total amount of time spent by disabled youths was the largest in the rest and sleep categories, followed by daily living, education, leisure, social participation, and play.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types showed that the groups were turned around (10.71% of participants), high activity group (50.00%), low activity (28.57%), and balanced (10.7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ypes in the first five of the aforementioned categori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ck of time us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use of time. The balanced type (21.53%) reported the most satisfaction. inadequacy Conclusion : The purpose of the project was to provide the raw data of intervention activities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ealth of disabled youth. By analyzing their time use and occupations, deficiencies in time management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use of time can be noted.

한국어

목적 :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 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장애 청소년의 시간 사용 분석 과 작업 유형별 시간 사용에 대한 자기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통계청에서 추출한 자료를 활용해 10세에서 24세 장애 청소년 84명을 작업치료실행체계-3을 기준으로 6개의 작업 영역으로 재분류했다. 작업 유형은 개인의 시간 사용량을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였 다. 마지막으로 작업 유형에 따라 시간 사용에 대한 자기 만족감을 확인하였다. 결과 : 장애 청소년의 전체 시간 사용량은 휴식과 수면 영역(42.33%)의 시간 사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일상 영역(21.69%), 교육 영역(16.44%), 여가 영역(14.15%), 사회참여 영역(3.46%), 놀이 영역(1.93%) 순이었다. 작업 유형을 분석한 결과, 역균형 유형 10.71%, 활동과다 유형 50.00%, 활동과소 유형 28.57%, 균형 유형 10.71% 이었으며, 휴식과 수면 영역, 일상 영역, 교육 영역, 여가 영역에서 유형별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시간 사용 부족감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시간 사용 만족감에서는 유형별 유 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균형 유형이 가장 만족한다고 느꼈다. 결론 : 장애 청소년의 시간 사용을 활용한 작업 균형 분석과 시간 사용에 관한 부족감 및 만족감 분석을 통 하여 장애 청소년의 삶의 질과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중재 활동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통계분석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시간 사용 분석 결과
3. 작업 유형 분석결과
4. 시간 사용 만족감에 대한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아름 Bak, Ah-Ream. 건양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 차태현 Cha, Tae-Hyun.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