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의 서예 전통과 영화 예술의 융합 : 장이머우(張藝謀) 영화 <삼국-무영자(影)>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Convergence of Chinese Calligraphy Traditions with Film Art-Based on Zhang Yimou's film “Shadow(影)”

석조유, 문현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works of Zhang Yimou, the representative of the 5th generation, many of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re included. “Shadow(影)”, which was screened in 2018, is a work that established a new film style of ink painting style by completely excluding the feast of brilliant colors that characterized the director's style and grafting traditional calligraphy elements and techniques onto the screen. Analyzing the video images, shorts, and mise-en-scéne of “Shadow” confirms that the pursuit of aesthetics, including calligraphy elements and techniques, and traditional aesthetic qualities in the cinematic space-time. In this work, it can be seen that traditional calligraphy elements and techniques were effectively fused not only in terms of sensibly perceived expression such as visual signs, characters, and narrative composition, but also in the entire process of film production, from editing to montage and style. Therefore, in this paper, the fusion of traditional calligraphy and modern movies was confirmed, focusing on typography of the opening and ending titles, calligraphy elements as a dramatic device for characters and narratives, traditional layout of Chinese calligraphy(行間布置) and montage techniques, and correlation between style of ink painting and false or true artistic conception(虛實相生) of movi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Shadow” not only effectively revealed the artistic value of traditional Chinese calligraphy by achieving unification of form and content, but also built a richer artistic aesthetic in the interfusion of film and calligraphy aesthetics.

한국어

제5세대를 대표하는 장이머우(張藝謨) 감독의 작품 속에는 중국 전통문 화의 특징적 요소들이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다. 그 중 서예는 중국 전통 예술의 전형으로서 그의 작품 속에 자주 등장한다. 2018년 상영된 <삼국 -무영자(影)>은 장이머우 감독의 스타일을 특징 지웠던 현란한 색채의 향 연을 전적으로 배제하고 전통적인 서예 요소와 기법을 스크린에 접목함으 로써 수묵화풍의 새로운 영화 스타일을 수립한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삼 국-무영자>의 영상 이미지와 쇼트, 미장셴 등을 분석하면 그 영화적 시공 간에 서예 요소와 기법, 전통적인 심미적 경지를 포함하는 미학 추구가 호응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 작품에서 전통적인 서예 요소와 기법은 시각적 기호, 캐릭터 및 내러티브 구성 등 감각적으로 지각되는 표현 측면에서 뿐 아니라, 편집과 몽타주, 스타일에 이르는 영화 제작의 전 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융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오프 닝 타이틀과 엔딩 타이틀의 타이포그래피, 캐릭터와 내러티브의 극적 장 치로서의 서예 요소, 행간포치(行間布置)와 몽타주 기법, 수묵화풍의 스타 일과 허실상생(虛實相生)의 의경 등을 중심으로 전통서예와 현대 영화의 융합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삼국-무영자>는 형식과 내용의 통일을 이룸으로써 중국 전통서예의 예술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드러냈을 뿐 아니 라, 영화와 서예 미학의 상호융합 속에서 더욱 풍부한 예술미를 구축하였 음을 알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장이머우 영화 <삼국-무영자(影)>에 나타난 전통서예요소
1) 오프닝과 엔딩 타이틀의 타이포그래피: 영화 주제를 소환하는 기호
2) 캐릭터와 내러티브를 드러내는 극적 장치: 영화의 가치지향을 강화하는 기호
3. <삼국-무영자(影)>의 영상미와 중국 전통서예미학
1) 몽타주 기법으로 전환된 행간의 포치
2) 수묵화풍 영화 스타일의 창조와 허실상생(虛實上生)의 의경(意境)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석조유 Shi, Tao-Yu.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영상・애니메이션학과
  • 문현선 Moon, Hyoun-Sun. 세종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창의소프트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