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Hair Up-styling Techniques by Wedding Dress Image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up-styling techniques as related to wedding dress image. To find up-styles that fit well with a wedding dres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hairdressers in the beauty industry, and new styles were created and sugges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For this, hair was slicked back without parting and combed upward. Then, using braiding techniques needed to produce a top point, styles were created to create attractive images. For up-styles that go with an elegant wedding dress, hair was parted in a ratio of 3 : 7. In addition, a roll technique was applied based on natural points by keeping the ears half-covered to create elegance. For up-styles that are perfect for a classic wedding dress, hair was parted in a ratio of 2 : 8, keeping the ears half-covered. Based on the back point, a twisting technique was applied to create classic images. It is anticipated that the study results would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creating and understanding up-styles that go with various wedding dress images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ir develop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웨딩드레스 이미지에 따른 업스타일 표현 기법에 대한 연구로 웨딩드레스 이미지와 어 울리는 업스타일을 찾고자 하여 미용업에 종사하는 미용사를 중심으로 설문을 했고 그 설문에 따른 결과 로 작품을 제작하여 제시하였다. 로맨틱한 웨딩드레스에 어울리는 업스타일은 가르마가 없는 올백형으로 빗질을 시원하게 위로 향하게 하여 탑포인트에 연출하는 땋기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것이 귀 여운 이미지 연출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엘레강스한 이미지의 웨딩드레스에 어울리는 업스타일은 3 : 7 비 율의 가르마를 형성하여 귀를 덮는 정도의 빗질로 네츄럴 포인트를 기준으로 롤 기법을 활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여 스타일을 표현하는 것이 엘레강스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클래식한 이 미지의 웨딩드레스에 어울리는 업스타일은 2 : 8 비율의 가르마를 형성하여 귀를 절반 정도 덮는 정도의 빗질로 백 포인트를 기준으로 꼬기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클래식한 이미지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용 전문가들이 꼽은 웨딩드레스 이미지에 대해 업스타일을 연출하였는데 이 자료는 업스타일 기초자료 를 제공함과 동시에 업스타일을 이해하는 디자인 영역에 기여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웨딩드레스 이미지
2.2 업스타일의 개념
2.3 업스타일의 표현기법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및 절차
3.2 설문구성 및 내용
3.3 자료처리 및 작품제작
4. 연구결과
4.1 연구대상 및 절차
4.2 웨딩드레스 이미지 분석
4.3 웨딩업스타일 연출시 적절한 빗질 방향
4.4 웨딩업스타일 연출시 가르마 위치
4.5 웨딩업스타일 연출시 토대의 위치
4.6 웨딩업스타일 연출시 적절한 기법
5. 디자인 분석 및 작품제작
5.1 업스타일 작품 연구
5.2 로맨틱 스타일 작품 연구
5.3 엘레강스 스타일 작품 연구
5.4 클래식 스타일 작품 연구
6.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