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rend Analysis of Domestic Tourism Transport Research and Direction of Complementary Research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searches related to tourism transport conducted in Korea and to discover new complementary research projects based on this. Forty cases were reflected in the study, including 28 academic papers and 12 policy stud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transport and cases of prior research, this study divided the field of tourism transport research into three ranges: traffic mode choice for tourism, information for tourist traffic and support policy for tourist traffic etc. In particular, mode choice for tourist traffic was divided into four sub-range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tourist traffic and the weight of research cas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t many cases of research on tourism transport, and the research cases were concentrated on the mode choice for tourist traffic. To complement this, this study proposed 10 new research projects in 3 ranges. This is a result of reflecting changes in tourist demand and tourism trends. In addition, a new research field was proposed to seek the connection between transport facilities supply and tourist demand.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수행된 관광교통 관련 연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보완 연구 과 제를 발굴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학술논문 28건과 연구기관의 정책연구 12건 등 40건이다. 연구 진행은 관광교통의 특성과 선행연구 사례를 토대로 관광교통의 연구 분야 를 관광교통 수단, 관광교통 정보, 관광교통 지원정책 등 3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특히 관광 교통 수단은 관광교통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연구사례의 비중을 반영하여 4개 세부 분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관광교통에 관한 연구사례가 많지 않으며 연구 분야도 관광교통 수단 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관광수요의 변화와 관광 트렌드를 반영하여 3개 분야에 걸쳐 10개의 새로운 보완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아울러 교통시설 공급 과 관광수요의 연관성을 모색하는 것을 새로운 연구 분야로 제안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국내 관광교통 연구 추이와 시사점
1. 관광교통의 영역 및 연구사례 분류 기준
2. 관광교통 연구 추이 분석
3. 관광교통 연구의 특징과 한계
Ⅲ. 국내 관광교통의 보완연구 방향
1. 관광을 위한 교통수단 선택 분야의 보완연구 방향
2. 관광교통을 위한 정보 분야의 보완연구 방향
3. 관광교통에 대한 지원정책 분야의 보완연구 방향
4. SOC 확충과 관광수요 변화를 연계하는 연구 분야 제안
Ⅳ.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