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글 자모 모르스부호의 가변성 부호화이론 적용성

원문정보

Applicability of Hangul Jamo Morse Codes to the variability coding theories

홍완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rse code was firstly used for the wire telegraphy service on May 1844 in U.S.A. The Morse code based on Arabic numerals was extended to the english alphabet by Vail, The Morse code was improved to apt to the long distance submarine cable by Gerke. The Gerke’ Morse code was adopted to European standard in 1890. The Gerke’s Morse code was based on to be the international standard Morse code. These Morse codes was used in wireless telegraphy service introduced in1890. In 1912, Radiotelegraphic convention meeting decided to use the International Morse code for the transmission of radiotelegram service. These english alphabet Morse codes was systematized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using frequency of Alphabet. Korea also developed the Korean Morse code in 1884 to open the telegraphic telegram service on 28 Sep. 1885. The Korean Morse code has been using without a wide amendment for about 130 years up to now. This paper studied whether Hangul Morse Jamo Morse code was coded according to the variable length coding theory considered to the frequency rate of the transmission data.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Hangul Jamo Morse code was not coded by applying the variable length coding theory. The result also confirmed that when Hangul Jamo Morse code is coded with the coding theory, the transmission efficient in the viewpoint of the transmission speed would be increased for about 25%.

한국어

모르스 부호는 1844년 5월에 미국에서 유선 전신통신에 최초로 사용되었다. 이 모르스 부호는 미국의 Vail 에 의해 현재의 모르스 부호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 Vail의 모르스 부호체계는 독일의 Gerke에 의해 장거리 해저 케이블특성에 접합하도록 개선되었다. 이 Gerke 부호는 1865년에 유럽표준으로 채택되어 현재사용되고 있는 국제 표준 모르스 부호체계로 발전되었다. 이 모르스 부호들은 1890년 말에 개발된 무선전신에도 도입되 었다. 1912년 영국의 런던에서 개최된 무선통신위원회는 무선전신의 전송에 국제표준모르스 부호를 사용하도 록 결정하였다. 이러한 영어의 알파벳 모르스 부호 체계는 알파벳의 통계적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체계화 되었 다. 우리나라는 1885년 9월 28일 최초로 개시되는 전신업무를 위해 1984년에 국문자모호마타법의 모르스 부호 를 개발하였다. 이 국문 모르스 부호는 그 이후 약130여년동안 큰 개선없이 현재까지 사용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은 가변길이 부호인 한글 자모 모르스부호가 가변길이 부호화이론에 적합하게 부호화되었는지 분석하였 다. 연구결과 한글모르스 부호는 가변길이 부호화이론을 적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글자모에 가변길이 부호화이론을 적용할 경우, 부호의 전송시간측면에서 전송효율이 약25%정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모르스 부호의 역사적 흐름
2.1 영어 모르스 부호의 역사적 흐름
2.2 한국어 모르스 부호의 역사적 흐름
Ⅲ. 국문자모 모르스 부호의 분석
3.1 모르스부호 구성
3.2 최적 모르스 부호화 원리
3.3 국문 모르스 부호의 자모 사용빈도율
3.4 국문 자모 모르스 부호 전송길이(소요시간)
I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홍완표 Wan-pyo Hong. 중이온가속기건설사업단 자문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