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사례 연구: 황소개구리 제거가 양서류 종 구성에 미치는 영향 – 신두해안사구에 위치한 웅덩이를 대상으로 –

원문정보

Case Study: Effects of American Bullfrog Removal on the Structure of Amphibian Species – For a pond in Sindu Coastal Sand Dune –

구교성, 서종철, 라남용, 권세라, 최우진, 김종선, 김경수, 남정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merican Bullfrog (Lithobates catesbeianus) is the most famous non-native amphibian in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This species cause problems such as disturbing ecosystems, mediating diseases, predation and competition against native species. Moreover, the economic and social costs for solving the problems are enormous. Bullfrogs were imported into South Korea to breed for food in 1957 and 1973. Since then, it has been released into the wild as a result of abandonment of breeding by farmers. Until now, bullfrogs are spreading very quickly and being found throughout the countr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ullfrog removal on the composition of amphibian species. our study was conducted in a pond of Sindu Coastal Sand Dunes located in Taean-gun. From 2013 to 2019, the area was monitored continuously, and the species and number of amphibians were recorded each year. In May and June 2019, bullfrogs were removed from the pond using a centipede net. In the pond, only two amphibians, bullfrog and Pelophylax nigromaculatus, were observed. After removal of bullfrogs, the number of P. nigromaculatu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removal of bullfrogs affects the structure of amphibian species in the short term.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be monitored to determine how removal of bullfrogs affects changes in amphibian species and populations in the habitat in the long term.

한국어

황소개구리 Lithobates catesbeianus는 국내를 포함하 여,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외래양서류이다. 토착 생 태계를 교란하고, 질병을 매개 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 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 및 사회적 비용도 적지 않다. 황소개구리는 1957년과 1973년에 걸쳐 양식을 목적으 로 국내로 수입되었다. 이후 양식 포기에 따른 방생으로 야생에 유입되었으며, 매우 빠르게 확산되어 전국적으 로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황소개구리 의 제거가 서식지 내 양서류 종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는 태안군 신두리에 위치한 신두해안 사구 내 웅덩이에서 진행되었다. 2013년부터 2019년까 지 해당 웅덩이에 서식하는 양서류의 모니터링이 수행 되었으며, 종과 개체수를 매년 기록하였다. 2019년 5월 과 6월에는 웅덩이에서 포획용 지네그물을 이용한 황소 개구리의 물리적인 제거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웅덩 이에서는 황소개구리와 토착종인 참개구리 2 종이 관찰 되었다. 발견 빈도가 매우 낮았던 참개구리는 황소개구 리의 제거 이후 유의미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황소개구리의 제거가 단기적으로 서식지 내 양 서류 종 구성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황소개구리의 제거가 서식지 내 양서류 종과 개체수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연구 지역 현황
2. 황소개구리 포획
3. 양서류상 조사
4.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1. 황소개구리 포획
2. 양서류 종 구성의 변화
3. 물리적인 황소개구리의 제거
결론
사사
국문 적요
참고문헌

저자정보

  • 구교성 Kyo Soung Koo. 이화여자대학교
  • 서종철 Jongcheol Seo. 대구가톨릭대학교
  • 라남용 Nam Yong Ra. 라나생태연구소
  • 권세라 Sera Kwon. 이화여자대학교
  • 최우진 Woojin Choi. 강원대학교
  • 김종선 Jong Sun Kim. 강원대학교
  • 김경수 Gyeong-Su Kim. 금강유역환경청
  • 남정은 Jeong-Eun Nam. 금강유역환경청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