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문직에서의 여성소외 현상과 대안 탐색: 교직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Women Alienation and Alternatives in Teaching Profession

오정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omen alienation in teaching as ‘women’s profession’ and to suggest some alternatives for reconceptualizing as ‘women’s true profession’. In view of the gender-neutral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the various arguments proposed concerning the so-called feminization of teaching, this study presents three aspects. First, the meaning and dilemmas embedded in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teaching profession are analyzed. Second, focusing on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teaching, women’s marginalized status in teaching, and the exclusion of gender from the concept of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realities and contradictions of woman alienation in teaching are examined. Lastly, drawing upon the current feminist research, alternatives for promoting professional status of women teacher in teaching are presented.
Some results and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Women alienation in teaching is the gendered construct forming as basis of the role of gender in relation to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addition, women alienation in teaching is more intensified not only by gender dualism between professional work and gender role, but also by gender neutrality and gender exclusion in the formation of the teacher as professional.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the gendered nature of ‘difference and interrelationship from mutual equality and equal voice’ should be considered as central to reconceptualizing as ‘women’s true prof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교직을 ‘여성전문직’으로 보고 교직에서의 여성소외 현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교직이 ‘진정한 여성의 전문직’으로 발전하기 위한 대안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논의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에서 여성소외 현상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직과 성과의 관계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둘째, 교직에서의 여성소외 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교직의 성별화, 여성의 주변화, 교직 전문성으로부터 여성소외 현상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직에서의 여성소외 극복을 위하여 여성으로서 전문적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페미니즘적 대안과 한계를 제시하고, 페미니즘적 대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탐색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직에서 여성소외 현상은 사회문화적, 정치적 요구와의 관련성 하에서 성에 따른 특성이나 역할을 기초로 사회적으로 만들어지는 성별화된 구성물로 드러났다. 전문성 개념과 성 역할간의 이중구조, 전문성 개념을 성 중립적인 것으로 보거나 성을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사실상 여성에 대한 체계적인 소외가 심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점에서 중요한 것은 교직의 성차별적인 역할이나 주변적 위치, 남성성에 대한 여성성의 종속, 전문성으로부터 소외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소외되어온 여성과 소외를 지배해온 남성간의 차별성과 대립성을 넘어서서 여성과 남성간의 차이와 상호연관성에 주목하면서 새로운 전망이 창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목차

요약
 교직을 통해 본 여성소외의 개념상 의미와 딜레마
  기술적 가정
  규범적 가정
  문제적 가정
  부정적 가정
 교직에서의 여성소외 현상
  교직의 성별화와 여성의 일
  여성화된 교직에서의 여성의 주변화
  교직전문성과 여성소외
 교직에서 여성소외 극복을 위한 페미니즘적 대안
  여성화된 교직에서의 여성의 주변화
  교직전문성과 여성소외
 교직에서 여성소외 극복을 위한 페미니즘적 대안
 결론 및 대안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오정란 Jeongran Oh. 광주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