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다문화적응과정을 통한 전환학습
초록
영어
This research examined the nature of changes in meaning structures among sojourners through the framework of intercultural adjustment.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wenty-five international graduate students from East Asia were selected through a purposeful sampling procedure.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nstant comparative approach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ojourners experienced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intercultural adjustment. The nature of changes in meaning structures provided more diverse perspective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his study also found the significant role of subjective factors that brought perspective transformation. The role of social relationship including modeling and friendship was a significant factor.
Both assimilative and transformative learning resulted in the building of a new self-image among the sojourners characterized by openness, self-confidence, changed values, and new ways of thinking and life.
Through the framework of intercultural adjustment, this study revealed more integrated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was enlarged and validated by acknowledging the significant role of social and cultural context and subjective factors.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다문화적응을 토대로 외국 유학생들의 의미구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아시아에서 온 대학원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도적인 샘플링을 25명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외국대학원생들에게서 다문화적응을 통해 전환학습이 발생하였고, 의미구조의 본질은 메지로우(Mezirow)의 전환이론에 좀 더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미국의 개인주의와 학문구조를 포함하는 사회 문화적인 상황배경이 학생들에게 좀더 자기중심적인 삶을 살도록 촉진하였고, 그들이 좀더 자신의 삶에 집중함으로써 자신들의 정체성을 발견하였다. 학문구조를 통하여 학생들은 자기가치(self-esteem)가 증진되었고 이는 그들의 관점의 변화를 촉진시켰다.
또한 이 연구에서 관점전환(perspective transformation)을 야기하는 주관적 요인들의 중요성을 발견하였다. 모델링과 친구관계를 포함하는 사회적 관계가 중요한 변화의 요인이었다. 긍정적인 감정들을 통하여 주로 동화학습을 통해 그들의 의미체계(meaning schemes)들을 변화시켰다. 축적된 의미체계의 변화들은 학생들에게 관점전환을 야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부정적인 감정들은 학생들에게 비판적인 자아성찰에 빠지게 하여 관점전환을 촉진시켰다. 비판적 성찰과 감정이 상호 작용하여 학생들에게 가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에 참여하게 하여 관점전환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동화 및 전환학습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자아상(self-image)을 형성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열린 관점, 자신감의 증진, 가치 변화, 그리고 새로운 방식 하에서의 생각과 삶이다.
이 연구는 다문화적응을 통하여 전환학습이론의 본질에 좀더 통합적인 시각을 제공하는데 기여했다. 주관적 요인들과 사회 문화적 상황의 역할의 중요성을 인정함에 따라 전환학습이론은 점차 확대되고 확증되고 있다.
목차
Introduction
Literature Review
Objectives
Methodology
Sampling and Data Collection
Research Procedure
Perspective Changes 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rePerspective Area
Personal and Socio-cultural FactorPersonal Factors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Catalytic ExperiencTransformative Experience
The Role of EmotionThe Emotions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ransformative LearninIntegrated Learning
Subjective Aspect of Transformative Learning
Significance of Social RelationshiSignificance Relationship
The Significant Role of ContexThe Context
Conclusion
Reference
요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