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칠지도(七支刀) 명문(銘文) 재고

원문정보

Reexamination on the seven-branched sword(七支刀)

木村誠, 임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past, I have already examined the inscriptions of sevenbranched sword(七支刀), and argued that the seven-branched sword was made by taught by Baekje's Prince Ki in 369 as a gift of the courtesy for the king of Japan zhǐ. There is no change in this understanding even now, but in this paper, we study discussions of the inscriptions and the sword after my previous study and stated as follows. Firstly, I changed the 22th letter and the 8th letter to "band(帶)" and "blade(刃)" respectively. Secondly, in terms of the date meaning when it is made "November 16th", I pointed out that "the sixteenth day" would be the day of the full moon, instead of suggesting that it can be the date of the winter solstice day in my previous study. That people make a sword at the time of the lunar eclipse in the Han dynasty can be connected to a relationship between a sword and the moon. It has yet been confirmed that the seven sword was made at the time of a lunar eclipse, but since the lunar eclipse is a phenomenon occurring at the full moon, it can be plausible to surmise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 that the sword was made at the time of the full moon and the sword. I understood that the seven sword was symbolized "cheerful regeneration" by making it on the full moon day of "November 16th", that is, Winter / Winter Solstice. Thirdly, I question the argument that criticizes Saeki Yukinori, which is a temporary debt of "Kyouto" with respect to the Lucky phrase "Yusuke queen", and once again supported the Saeki theory did. It can be interpreted that "Son (Kyoto)" is "disgustingly modest". Taiko Odori may have added two words of "Konno" to the Lucky phrase "Wing of King" that was widely used at that time, with the intention of checking against Wao. It was speculated that there was deep vigilance at the same time as expectation for Wa Wang in Prince Ki's chest.

한국어

일찍이 나는 칠지도명문을 검토하고, 칠지도는 도교․도가사상에 경도 된 백제 태자 奇가 369년에 왜왕 旨를 위해 의례품으로써 제작한 것이라 고 논했다. 현재에도 이러한 이해에 변경은 없으나, 본고에서는 칠지도에 관한 그 후의 논의를 조명하여, 명문에 대해 다시 생각한 것을 아래와 같 이 서술했다. 첫째로 22번째 글자와 8번째 글자의 석문을 각각 ‘帶’와 ‘刃’으로 고쳤 다. 둘째로 칼을 만든 날 ‘11월 16일’을 의미하는 부분에 대해, 동짓날의 가능성을 시사한 이전의 설명을 철회하고, ‘16일’이 만월에 해당하는 점 을 지적했다. 한나라 상방에서 월식 때 도검을 만든 것이 후세까지 전해 져와, 칼과 달의 관련이 의식된다는 것이 떠올랐다. 칠지도의 작도일이 월식인 점은 확인되지 않으나, 월식도 만월 때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만 월의 작도에 무언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추측할 수 도 있지 않을까. 칠지 도를 ‘11월 16일’ 즉 仲冬․동짓달 만월일에 만듦으로써 양기 재생을 상 징한 것으로 이해했다. 셋째로 길상구 ‘宜供供矦王’에 대해서는 ‘供供’을 ‘恭恭’의 가차(假借)로 보는 佐伯有清의 설을 비판하는 논의에 질문을 표하고, 佐伯의 설을 다시 한번 지지했다. ‘供供(恭恭)’은 ‘경건하고 정숙함’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태자 기는 왜왕에 대한 견제의 의미를 담아 당시 널리 사용되었던 길상 구 ‘宜矦王’에 ‘供供’두 자를 덧붙였을 것이다. 태자 기의 마음속에는 왜 왕에 대한 기대와 동시에 깊은 경계의 뜻이 있지는 않았을까 추측한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명문 해석(釈文)
Ⅲ. 제작연도에 대해서
Ⅳ. 작도의 경위에 대해
Ⅴ. 나가며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木村誠 Kimura, Makoto. 首都大學東京名譽敎授
  • 임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