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The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PTSD) in Disaster Victims

원문정보

공동체 탄력성이 재난 피해자의 PTSD에 미치는 영향

Yi Re Kim, Seol Mi Oh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ay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disaster victims who suffer physical as well as mental damage from disasters.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reducing emotional damages to disaster victims by verifying whether community resilience, as an emerging topic in disaster management, could mitigate PTSD symptoms of disaster victim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the 3rd Disaster Victims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in Korea were analyzed for 2,311 victims of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occurred in Korea from 2012 to 2017.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s as well as the major variables. In addi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community resilience on PTSD symptoms of disaster victims, with controlling the variables that could have an impa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a disaster management plan at the community level using community resilience.

한국어

본 연구는 재난상황에서 물리적 피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피해를 겪게 되는 재난 피해자의 정신건 강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즉, 재난관리에서 최근 대두되는 공동체 탄력성이 재난피해자가 겪을 수 있는 주요한 정서적 피해인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의 완화에 영향을 주는 지를 검증하여 재난피해자의 정서적 피해 경감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실시한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3차 추적조사(3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발생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피해자 2,311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 석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재난피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주요변수의 수준 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 확인 을 위해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종속변수에 주요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통제하여 공동체 탄력성이 재난피해자의 PTSD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공동체 탄력성이라는 지역사회차원의 재난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공동체 탄력성
2. 재난피해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3. 공동체 탄력성과 PTSD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분석 자료 및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주요변수의 수준
2.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3. 공동체 탄력성이 재난피해자의 PTSD에 미치는 영향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Yi Re Ki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Seol Mi Oh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Pusan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