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광양산업단지 인근지역 대기 중 중금속 오염 특성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embient of residential areas near Gwangyang Industrial Complex. The heavy metal measuring points were selected as Taein-dong, Geumho-dong and Myododong. Sampling was carried out for 7 days in each season by sampling for 24 hours from 10 AM to 10 AM the next day at all measurement points during the four seasons. The analysi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heavy metals are within the permissible levels.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asonal fluctuation according to heavy metal components, indicating that all of the survey points in this study were in the same area of influence due to seasonal wind direction. The average enrichment factor of Cd, Cr, Ni, Pb and Zn is over 10, which can be evaluated as a heavy metal component with high pollution level by artificial sources. The results of evaluating the pollution index using domestic and foreign air quality standards exceed 14.3%, and the average of the pollution index was 0.61 to 0.62.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residential area was not high. However,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effect caused by anthropogenic sources suggests that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from the acceptor's point of view.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광양산업단지 인근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대기 중 중금속 농도 분포 특성을 파악코자 하였다. 중금속 측 정지점은 태인동, 금호동과 묘도동으로 선정하였다. 시료채취는 4계절 동안 전 측정지점에서 오전 10시에서 익일 오전 10시까지 24시간 동안 채취하는 방법으로 각 계절별 7일간 연속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중금속이 기준치 이내 로 나타났다. 또한 중금속 성분별에 따른 계절별 변동 양상에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연구의 조사지점 모두 계절적 풍향 에 의한 동일한 영향권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Cd, Cr, Ni, Pb, Zn은 평균 농축계수가 10이상으로 나타나 인위적 배출원에 의한 오염도가 높은 중금속 성분으로 평가되었다. 국내외 대기환경기준치로 오염지수를 평가한 결과, 오염지수 1을 기준으로 14.3%가 초과됐으며, 오염지수 평균은 0.61~0.62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주거지역의 중금속 오염도는 높지 않은 결과를 보였으나, 인위적 배출원에 의한 중금속 오염 영향이 있는 만큼 수용체 입장에서 지속적인 모 니터링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재료 및 방법
1. 측정지점 및 기간
2. 측정기간 중 기상개황
3.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조사지점별 중금속 농도 분포
2. 계절별 중금속 농도 분포
3. 중금속 농도 변동에 미치는 영향인자 분석
4. 중금속의 인위적 발생원 평가
5. 중금속의 오염도 평가
IV.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