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단원 김홍도의 茶畵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anwon Kim Hongdo’s Tea Paintings - Focused on the Aesthetic Consciousness

단원 김홍도의 다화 연구

조동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late Joseon Dynasty(1700-1850), various thoughts and diverse cultures were harmonized, resulting in the awakening of subjectivity, which led to the study of Joseon tea. The spirit of the times emphasizing subjectivity was created by the Genuine Landscape Painting, which depicted the genuine landscape of Joseon, and the genre paintings that described the lives of Joseon people. The revival of Joseon tea was embodied as tea paintings. Danwon Kim Hongdo(1745-1806) showed the best ability in the real landscape paintings of seeking truth from fact and the genre paintings based on common people, and he embodied the literati’s tea samadhi which contained the tea ceremony spirit of Joseon in tea paintings. Danwon painted the largest number of tea paintings among Joseon painters, and the tea culture of the times was lively reflected, and his aesthetic consciousness was fully expressed in his paintings. It could be said that to study Danwon’s tea paintings that contain various spiritual values of Joseon tea is to study the culture of the time. Various studies on Kim Hongdo’s paintings have been conducted consistently, but there are only few studies on his tea paintings separately. Since Danwon’s tea paintings have the subjective spirit of the times that emphasizes Joseon tea and the aesthetic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ey could help to solidify the status of the Korean tea ceremony. Confucian scholars in his tea paintings enjoy the music while drinking tea, recite poems while drinking tea, and talk with friends in the nature while drinking tea.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and the aesthetic boundaries of Joseon paintings by analyzing Danwon’s tea paintings that express the Joseon literati’s tea samadhi.

한국어

조선 후기(1700-1850)는 다양한 사상과 다채로운 문화가 조화를 이루며 주체성에 대한 각성이 이루어졌고, 이는 조선 茶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 주체성을 강조하는 시대정신은 조선의 산수를 그린 진경산수화와 조선의 삶을 그린 풍속화로 창출되었고, 조선 茶의 중흥은 茶畵로 형상화되었다. 단원 김홍도(1745-1806)는 실사구시의 실경산수화와 서민중심의 풍속화에서 최고의 역량을 발휘했고, 조선의 다도정신이 담긴 文士의 茶三昧를 茶畵로 형상화했다. 조선화가 중에서 가장 많은 茶 그림을 그린 단원의 茶畵에는 당대의 茶文化가 여실하게 내재되어 있고, 그의 심미의식이 오롯하게 표출되어 있다. 조선 茶의 다양한 정신적 가치가 담겨있는 단원 김홍도의 茶畵연구는 곧 당대 文化의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김홍도 회화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부단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그의 회화 중에서 茶그림을 독자적으로 연구한 경우는 미미하다. 한국다도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도움이 되는 단원의 茶畵에는 조선 茶를 중시하는 주체적 시대정신과 유불도의 미학이 내재되어있다. 단원의 茶畵속 선비는 茶와 음악을 통해 茶樂을 즐겼고, 詩를 읊고 茶를 마시며 茶興에 취했고, 한가로운 자연에서 유유자적 茶를 마시며 淸淡을 나누었다. 이에 본고는 조선 문사의 茶三昧가 표현되어 있는 단원의 茶畵를 심층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조선회화의 미학적 경계를 넓히고자 한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단원 김홍도의 茶畵
1. 오심지차(吾心之茶)의 자수전다도(煮水煎茶圖)
2. 고류은일(高流隱逸)의 다시일여도(茶詩一如圖)
3. 아사군자(雅士君子)의 청담다회도(淸淡茶會圖)
4. 방촌일월(方寸日月)의 다사은일도(茶士隱逸圖)
5. 백행지원(百行之源)의 다도지심도(茶道之心圖)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동원 Cho, Dong Won. 성균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