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녀공학대학교 여학생 커리어를 위한 자기성찰적 전략

원문정보

Self-Reflective Strategies for Career Developments of Korean College Women on Co-ed Campus

나윤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Korean society has recently highlighted the significant role of female workforce by publically posting phrases such as “The 21st Century is the Epoch of Women,” the reality of Korean women is not bright. A female college graduate, who has the same job-related qualifications as her male counterpart, could not be employed as possibly as he could. 1 out of 12 women in their 20’s and 30’s is living on prostitution. Male-centered cultural and structural practices have been criticized by scholars and activists for lowering women’s employment rate, and the criticism should be continued. This article, however, focuses on women themselves, not on the culture and structure. The patriarchal content of socialization for Korean women has tamed them to meet male-centered standards, resulting in women trapped in double standards that ask them to be both feminine at private sectors and masculine at public. This article suggests that women need not follow either feminity or masculinity. Rather they should be public-appropriate figures by forming ‘public identity’ in public sectors. De-socializing what women have been socialized, women can re-socialize themselves into those who have public identities. ‘4 Dis-’, dis-Narcissism, dis-Infantilized Identity, dis-Self Actualization, and dis-Individuality, are suggested as several of possible ways for college women to shape public identities.

한국어

취업에 필요한 객관적 요건에 대해 남성들과 같거나 더 나은 자격을 갖춘 여대생들도 남성 중심적 고용 문화와 관행 때문에 남성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취업할 수 없다. 한편 20, 30대 여성 12명 중 1명은 매매춘으로 생계를 잇고 있다는 통계가 있다. ‘21세기는 여성의 시대’라는 언명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많은 학자들이 남성 중심적 구조와 문화의 지점을 드러내고 비판하는 논문들을 발표했었고, 앞으로도 그러한 작업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본 논문은 남성 중심적 고용 문화나 사회 구조에 대한 비판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이제껏 남성 중심적 문화에 길들여진 여성들, 특히 여대생들이 그들에게 가해진 성별적 사회화의 치명성을 깨닫고 그것을 ‘거슬러 가는’ 자기성찰적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성차별적 고용 관행의 책임이 여성들에게 있다는 희생자 비난의 목소리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다. 여대생들에게 ‘거슬러 가기’의 잠재력과 능력이 있음을 기초로 남성 중심적 고용 문화에 대한 저항의 방향과 중요성을 일깨워야 함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

요약
 21세기는 여성의 시대인가?
 21세기의 여대생들에게 던지는 질문
 이론적 배경
 연구 방법
 결과 및 해석
  남녀공학대학교 여학생들의 다섯 가지 유형
  여대생들의 공통점: 성 차별적 현실에 대한 감각과 공적 정체성 결여
 여성 스스로의 재사회화: 공적 영역에 적합한 인구로
 공적 정체성을 향한 재사회화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나윤경 Yoonkyeong Nah. 연세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