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論文

의암 류인석 의병과 독립운동의 연계성

원문정보

Association of Righteous Army Fighter Uiam Ryu In-seok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손승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letters of 22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following annexation in 1910 among the 905 letters sent to 554 people listed in the ‘Collections of Uiam(毅菴集)’. It examines how Uiam’s beliefs and righteous army activities transformed into what kind of independence movement. Of the 554 people 141 were literary persons and 96 were not. Based on the time of their birth and death,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1910 were comprised of 16 literary persons and six non-literary persons. The way that they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s 12 out of 22 participating directly in armed independence movement as members of the Greater Korean Independence Corps. Six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ir history is unknown, while the remaining three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in Korea. The Greater Korean Independence Corps was divided into the Origin Independence Corps and the Republic Independence Corps in April of 1920, but in July of 1920, the allied with the partisans of the Korean Youth Alliance to establish the Light Restoration Militia Corps to engage in military activities together. Since then, they also participated during the founding of the Korean Military Division and during the course of the Korean Military Division being expanded into the Korean Righteous Division, the Origin Independence Corps were refused and the Righteous Army was organized. When examining the above, Uiam finished his official activities with the Seongmyeonghoe(聲明會) and passed away in 1915, but it is evident that his righteous army beliefs and resistance were passed on and developed into the armed independence movement carried out in Manchuria after the ruin of the nation by literary persons and righteous army activists. In-depth research in this field is needed in the future.

한국어

이 글은 『毅菴集』에 수록된 554명에게 보낸 905편의 간찰 중, 1910년 병탄이후 독립운동에 참여한 22명의 간찰을 분석하여, 의암 사상 및 의병활동이 어떤 형태의 독립운동으로 전환되어가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554명 중 대상인물은 문인 141명과 비문인 96명이었다. 이들 중에 생몰연대를 기준하여 1910년 이후 독립운동에 참여한 인사는 문인 16명과 비문인 6명이었다. 이들이 참여한 독립운동의 형태는 22명 중 12명이 대한독립단 단원으로 무장 독립운동에 직접 참여하였다. 6명은 독립운동에 참여했으나 행적이 밝혀져 있지 않고, 나머지 3명은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했다. 대한독립단은 1920년 4월, 紀元獨立團과 民國獨立團으로 분열되기도 했으나, 1920 년 7월, 대한청년연합회의 별동대 등과 연합해 光復軍摠營을 창설해 군사활동을 함께 벌였다. 그 후 1922년 大韓統軍府가 결성될 때에도 참여했으며, 大韓統軍府가 大韓通 義府로 확대되어 가는 과정에서 기원독립단을 거부하고 義軍府를 결성했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서 볼 때, 의암선생은 ‘聲明會’로서 공식 활동을 마감하고 1915 년 서거했지만, 그의 의병사상 및 항쟁은 門人과 의병활동가들에 의해 망국 이후에 도 만주에서 전개되는 무장 독립운동에 그대로 계승·발전되어감을 확인할 수 있었 다. 향후 이 분야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요청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門人의 경우
3. 非門人의 경우
4. 맺음말
ABSTRACT

저자정보

  • 손승철 Son, Seung-Cheul. 강원대학교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