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論文

강원 영동지방 항일의병 활동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development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Eulmi’s troops Resistance to Japan in 1895 and Jeongmi’s troops Resistance to Japan in 1907,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which developed in Gangwon-Yeong-dong area Eulmi’s troops Resistance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a coalition of troops Resistance led by General Min Yong-ho and local troops Resistance who already existed in Gangneung. A large number of Donghak Peasants participated in the Second Donghak Peasants’ War, in 1894, Joining with Eui-jin(義陣) in Gangneung, Min Yong-ho’s Eui-jin carried out various tactics, such as Wonsan Advancement. Of course, the operation was unsuccessful by the Japanese military. Jeongmi’s troops Resistance was triggered by the dissolution of the Korean Empire’s army. At that time, Gangneung Jinwi Military also conducted troops Resistance activities with dissolution. The Japanese military carried out a large-scale anti-battle operation as it judg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achieve its purpose, such as colonial rule, without wiping out Euijin, Gangwon Province, the epicenter and power base of Jeongmi’s troops Resistance. The characteristic of Eulmi’s troops Resistance is carried out an offensive operation of Wonsan, a Japanese military garrison. It is also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small-scale Eui-jin in Gangneung and Min Yong-ho’s Eui-ji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is that small Eui-jin activities in Gangneung were able to cooperate with Gangwon Yeong-se Province Eui-jin. including Wonju, Yeongwol and Jecheon. The characteristic of Jeongmi’s Eui-jin activities is that it has changed from a large-scale protest to a small-scale one due to the Japanese military’s punitive operations.In the process, Jeongmi Eui-jin staged a guerrilla-style military protest in the Baekdu-daegan area. The historical significance is as follows. The Japanese military launched a large-scale operation to wipe out resistance soldiers in Gangwon Province, which was based in Wonsan, from August 1907, before the Japanese military launched a large-scale operation to wipe out resistance soldiers in 1909. In response, the resistance soldiers continued to stage an uprising through guerrilla-style tactics to surprise the Japanese army’s garrison and police division.

한국어

본 논문은 강원영동지방에서 전개된 1895년 을미의병과 1907년 정미의병의 전개 과정과 특성, 그리고 역사적 의의를 연구한 것이다. 1895년 강원 영동지방 을미의병은 복재 민용호의 관동구군도창의소 중심으로 여 기에 강릉에 존재했던 지역 의진과 연합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또 1894년 2차동학농 민전쟁에 가담하였던 다수의 동학농민군들이 의병에 참여하였다. 민용호 의진은 강릉지역 의진과 합세하여 원산진격과 같은 다양한 전술을 펼쳤다. 물론 이 작전은 일본군에 의해 좌절되었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의 계기로 촉발된 정미의병 당시 강릉진위대 역시 해산 을 계기로 의병활동을 전개하였다. 일본군은 정미의병의 진원지이자 세력기반인 강원도 의진을 소탕하지 않고서는 식민지 지배와 같은 그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대대적인 토벌작전을 전개하였다. 을미의병의 특징은 강릉지역 내 소규모 의진과 민용호 의진이 연합해서 한반도 동해안의 일본 거점 지역인 원산 진격작전을 감행했다는 점이다. 역사적 의의는 강릉지역 단위의 소규모 의병활동이 강원 영동지방 더 나아가서는 원주, 영월, 제천 등 영서지방 의진과 공조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정미의병은 일본군의 소탕작전으로 인해 대규모 항쟁을 전개하던 양상이 소규모 항쟁으로 변화하였고, 이 과정에서 백두대간을 주 무대로 활용하면서 강릉 영동, 영서를 아우르는 게리라식 의병항쟁을 펼쳤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 역사적 의의는 1909년 9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약 2개월간에 걸쳐 자 남한대토벌작전을 전개하 였는데, 이보다 앞서 일본군은 1907년 8월부터 원산을 거점으로 하는 강원도 각 지역에 대한 의병소탕 작전을 대대적으로 펼쳤고, 이에 대해 의병들은 대규모 병력 과 부대 단위로 조직화된 의병투쟁에서 일본군 수비대 및 경찰분견소를 기습하는 게릴라식 전술을 통해 항쟁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다는 점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을미의병의 전개과정
1) 의진의 합진(合陣)과 소모활동
2) 원산공격 실패와 관군과의 전투
3. 정미의병의 전개양상과 추이
1) 영동지방 의병장의 활약
2) 의진의 공조와 전술의 변화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