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재한조선족의 집단거주지 형성과 교육적 함의

원문정보

Formation and Its Implications of Korean Residents' Community

이명은, 권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Chinese in Korea immigrant history should be viewed from the same point of view as Korea's overseas migration history. They started their mi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ion after the Seoul Olympics in 1998 and the Korea-China Sisterhood in 1992, but they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the concept of nationality. As the Korean government revised the Overseas Koreans Act in 2004 and the Visiting Employment System in 2007, its legal status changed, and group residences expanded nationwide as well. In this way, in the context of Korea's unique situation and the presenc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Korean residents in Korea have formed and strengthened their own collective residenc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countries that value the national concept that ideologically identified national identity like Korea should make vertical national concept become horizontal national concept. Second, although Korea has been amending legal and institutional laws since enter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re are still some limitations. Third, since the formation and expansion of group dwellings from the same national perspective can affect migrants from other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divert exist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from the perspective of inclusive assimilation.

한국어

중국의 조선족 해외 이주역사는 한국의 해외이주역사와 동일한 선상에 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들은 1998년 서울올림픽과 1992년 한·중수교이후 ‘같은 민족’적 관점에서 한국이주를 시작했지만, 한국사회에서의 차별적 대우와 경험을 통해 민족개념의 인식차이가 존재함을 알았고 자신들만의 집단거주지를 형성해오고 있다. 한국정부가 2004년 ‘재외동포법’개정과 2007년 ‘방문취업제’의 실시는 이들에게 법적 지위를 갖도록 하면서 한국 으로 이주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나아가 재한조선족들은 한국만의 분단 된 특수한 상황과 중국과의 대내외적 요인들의 영향 속에서 자신들만의 집단거주지를 더욱 확대 형성하고 한국사회를 향해 요구했던 교육적 함 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처럼 민족정체성을 이데올로기화 했던 민족 개념을 중시하는 국가는 보수적인 수직적 민족개념을 수평적 민족개념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진입이후에 법률적 제 도적 관련 법률을 개정해오고 있지만, 여전히 일정한 한계가 존재하고 있 기에 지속적 사회적 구조개정이 필요하다. 셋째, 같은 민족적 관점에서 이 들의 집단거주지 형성과 확대는 기타 국가출신의 이주민들에게 엄중한 영향을 줄 수가 있어 포용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이들에 대한 기존의 인 식과 태도를 전환해야 한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해외 이주민 집단거주지에 대한 이해
Ⅲ. 재한조선족 집단거주지 형성의 원인
Ⅳ. 재한조선족 집단거주지 형성의 함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은 Lee, Myeong-Eun. 동국대학교 국제다문화학과 박사과정
  • 권귀영 Kwon, Kwi-Young.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