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

원문정보

The Donghak Peasant War and Chinese-Japanese War

안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hinese-Japanese War’ develop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articularly its early part cannot be separated from our Donghak Peasant War. Nevertheless, awareness about ‘Chinese-Japanese War’ tends to be very much unfair. In other words, Donghak Peasant Revolution is monotonously mentioned as the caus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 ccus ed a nd h eld res pons ible w hile t he r elations hip with Donghak Peasant War has usually been ignored as to the war’s development and damage. After the battleground was moved to China, Donghak peasant army had a fierce battle against Japanese army on the Korean Peninsula, playing a role to support Qing at the rear. ‘Outbreak of the Chines e- Japanese War’ was not incurred by Donghak Peasant Revolution to Donghak peasant army but rather the fruit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at they concluded the peace treaty Joseon government and were deprived of progress to experiment Jipgangso (autonomous reform institution established by Donghak peasant army) politics, serving as an opportunity to move forward to Donghak Peasant War.

한국어

‘동학농민전쟁’은 ‘청일전쟁(淸日戰爭)’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그런데 기존의 경우 ‘청일전쟁’의 동기나 원인에 대해서는 ‘동학농민혁명’에서 찾으면서 정작 전쟁 과정이나 결과를 논함에 있어서는 ‘동학농민전쟁’과의 관계를 거의 논하지 않고 마 치 별개인 것처럼 처리되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 이는 승자 중심의 역사관, 일본 중 심의 역사관이 깊이 투영된 결과이다. 이 논문은 이를 바로 잡고자 한다. 논문의 주 요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청일전쟁’은, 특히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청과 일본이 주축국이 아니고 조선민중 과 청, 그리고 일본의 ‘삼국전쟁’이었다. ‘청일전쟁’의 원인은 조선의 부패나 동학농 민혁명이 아니라 조선의 일관된 파병중지 요청과 철군 요청을 무시한 일본의 침략 야욕이다. 일본은 조선 출병과 주둔에 대해 시종 조선의 자주와 개혁을 말했지만 그 것은 어디까지나 내정문제로 관여할 바가 아니었으며, 심지어 타국의 최고 주권자가 있는 경복궁을 무단 군사점령 하고, 무력협박 상태에서 각종 친일중심의 개혁논리를 강요하였으며, 심지어 조선이 공식 원조를 요청한 청을 상대로 전쟁을 벌이면서 자 국과 공수동맹조약(攻守同盟條約)을 강제로 체결하게 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청(淸)이 전쟁에서 패하고 떠나자 조선민중들은 조국의 주권을 수호하고자 ‘동학농 민전쟁’, 곧 ‘또 하나의 청일전쟁’을 수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미 정부와 화약(和 約)을 맺고 집강소의 협치까지 했던 동학농민(東學農民)들이 다시 농민군(農民軍)이 되어서 소위 ‘근대 문명국’ 일본의 신식 무기를 상대로 전투를 벌였다. ‘문명 일본’은 사실상 양민을 상대로 학살을 하였고, 게다가 조선정부와 농민군을 강제로 상호 적 으로 만드는 반인륜을 저질렀다. 결론적으로 ‘동학농민혁명’은 결코 ‘청일전쟁’의 원인이 아니고, 오히려 ‘청일전 쟁’으로 인해 ‘동학농민전쟁’이 발발하였다. 즉 1차 기포는 내정개혁을 위해 일어난 혁명으로서 내정 문제였고, 2차 기포는 일본이 ‘청일전쟁’을 전후하여 벌인 조선의 주권을 침탈 만행에 저항하여 일어난 ‘전쟁’이었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동학농민혁명과 청일전쟁
Ⅲ. 청일전쟁과 동학농민전쟁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외순 Ahn, Woe Soon. 한서대학교 글로벌언어협력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