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생산성 성장요인 분석 : 제주도 소매업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Productivity Growth Factor Analysis in Jeju-do Retail Industry

조장희, 최돈승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rior studies argued that entry of new companiess with high productivity and exit of existing firms with low productivity as a growth factor for productivity. From a dynamic point of view, although entry of new companies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of the retail industry, some studies have argued that existing companies may bemore importan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growth factors of productivity for retailers in Jeju Island using 2005 service industry survey and the 2010, 2015 economic survey. During the analysis peirod, the average retail industry in Jeju Island grew by approximately 23% and the total productivity increased by about 43.01%. Based on the total retail business of Jeju Island, the contribution rate of entry and exit was 29.93% for 10 years, accounting for about 70% of the total productivity increase of the retail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 that more than half of the total productivity growth of the retail industry in Jeju Island is driven by business entry and exit. In order tomor specific implications, the results of each analysis were drawn by classifying the size and region fo the companies. As a result of comparing Jeju city and Seogwipo city, the heterogeneity of some productivity effects was observ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usiness, but the qualitative difference was not large.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ynamic changes of small businesses, which are largely responsible for the majority of local retailers, are driving structural changes across the region. Furthermore, these results argue that policy efforts to lower the barrier to entry in the market in the long termwill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industry.

한국어

선행연구는 생산성의 성장요인으로 생산성이 높은 신규 기업의 진입과 생산성이 낮은 기존 사업체의 퇴출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동학적인 관점에서 신규 기업의 진입은 소매업 성장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계속 사업체가 더 중요할 수 있다는 주장 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2005년 서비스업총조사 및 2010년, 2015년 경제총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제주도의 소매업을 대상으로 생산성의 성장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제주도 소매업 사업체의 평균 생산성은 약 23% 성장하였으며 총생산성은 약 43.01% 성장하였다. 제주도의 전체 소매업을 기 준으로 할 경우 진입과 퇴출의 기여율은 10년간 29.93%였으며, 전체 소매업 총 생산성 증가의 약 70%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제주 도 소매업의 총생산성 성장의 절반 이상이 사업체의 진입과 퇴출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보다 구체적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기업의 규모와 지역을 구분하여 각각의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사업체의 규모별로 일부 생산 성 효과의 이질성이 관측되기는 하지만 질적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대체로 지역 소매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규모 사업체들의 동학적 변화 가 지역 전체의 구조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의 결과는 장기적으로 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추는 정책적 노력 이 산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변수의 설정
1. 이론적 배경
2. Foster et al.(2006)의 생산성 분해식
3. 노동생산성
4. 사업체의 진입과 퇴출
III. 분석자료
1. 분석자료
2. 기초 통계 및 생산성 분해 결과
IV. 연구 모형
1. 회귀 모형
2. 사업체 규모별 분석
3. 진입 후 성장 분석
V. 분석 결과
1. 기본 모형 분석 결과
2. 사업체 규모별 분석 결과
3. 진입 후 성장 효과 분석
VI. 결론 및 시사점
1. 논의
2.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장희 Cho, Jang-Hee. 제주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 최돈승 Choi, Don-Seung. 안동대학교 경제무역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