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 나타난 신사(神社) 세력에 대한 일고찰 ― 헤이케(平家)와 이쓰쿠시마 신사(厳島神社)의 연계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Jinja Force in Heikemonogatari : Based on the Link between Heike and Itsukushima-jinja

한채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cusing on the jinja force shown in Heikemonogatari, the current paper has examined the dynamics formed within the jinja force and its linkages with Heike, and the common representation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surezuregusa, the author of Heikemonogatari is believed to be under the control of Jien, a blue blood from Fujiwara dynasty and the head priest of Enryakujia. The author absorbed Jien's ideas and incorporated them in his work. Jien's political ideas can be found in Gukanshō, which says that Japan was ruled by Amaterasu and Kasuga, the Gods who protected the head of the Imperial Family and the Fujiwara dynasty. However, since the age of the warriors has arrived now, Japan should admit warrior force and operate through cooperation of the imperial family, Fujiwara clan and the warrior. Jien's idea can be seen from the dynamics and trends of the jinja force in Heikemonotari. In addition, Heike and Itsukushima-jinja should be interlocked with the rise and fall of WHAT, and share ominous signs. This is a message of warning that those who try to overthrow the existing order system, such as the ambition of Kiyomori, are destined to perish. Heikemonotari also suggested a political system marked by close cooperation among the imperial family, Fujiwara clan and the warrior through the jinja force.

한국어

본 논문은 『헤이케모노가타리(平家物語)』에 나타난 신사 세력에 초점을 맞추어, 신사 세력 내에 형성된 역학관계와 헤이케와 결속한 이쓰쿠시마 신사(厳島神社)와의 연동성 및 공통된 표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쓰레즈레구사(徒然草)』의 기록에 따르면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작자는 섭관가 출신이며 천태좌주를 지냈던 정치적 인물인 지엔(慈圓)의 지배권에 있었고 지엔의 사상을 흡수하여 작품에 녹여낸 것으로 추측된다. 지엔의 정치사상은 『구칸쇼(愚官 抄)』에서 엿볼 수 있는데 그 핵심은 천황가와 섭관가를 수호하는 신들에 의해 일본 은 지배되어왔지만, 무사의 시대가 도래하였으니 무사 세력을 인정하고 황가 및 섭 관가 그리고 무사의 협력를 통해 일본이 운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엔의 생각은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신사 세력의 역학관계와 동향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헤이케와 이쓰쿠시마 신사는 흥망성쇠를 같이하는 연동성이 발견되고 양자가 불길한 표상을 공유하는 측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조큐의 난으로 실추된 권위를 되찾고자 하는 황실과 섭관의 입장이 작품에 반영되어 기존 질서체제를 전 복하려는 기요모리의 ‘마음’을 품은 자는 헤이케와 같은 멸망 일도를 걷게 될 것이 라는 경고의 메시지이며, 황가와 섭관 그리고 무사의 협력이라는 정치체제가 바람직 한 지향점이라는 것을 종교 세력을 통해 나타냈다고 판단된다.

목차

<요지>
1. 머리말
2. 『구칸쇼(愚官抄)』의 저술과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생성
3. 이쓰쿠시마 신사와 헤이케의 불길한 표상의 연계
4. 불길한 표상의 의미와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창작 의도
5.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한채민 Han, Chaemin.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