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재난을 소재로 한 영화연구

원문정보

Research on Korean Disaster Movies

저우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sing the methods of theme film research and case studies to explore Korean disaster film, it is found that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disaster film, South Korea has not only borrowed from the model of Hollywood disaster film, but also incorporated Korean culture to form its unique theme. Means and distinctive local characteristics. The Korean government has given policy a lot of creative space for the film, which also makes it possible for South Korean disaster-type films to reflect social reality through disaster narratives, and it has certain social criticism. Disaster film is not only an expression of art but also a true portrayal of life. It is an artistic expression of the real world, an artistic portrayal of the fear of human beings facing disaster, and an artistic analysis of the human natu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Korean disaster-themed films more profoundly show the contradictions and conflicts between people, society and nature. This article makes an in-depth discussion of the prosperity phenomenon of Korean disaster films, summarizes several framework theories of Korean disaster film research through specific case analysis, and systematically sorts ou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disaster movie films, focusing on narrative Starting from three perspectives: content, artistic acceptance and means of expression, the aesthetic value of Korean disaster films is analyzed.

한국어

장르영화연구와 개별사건연구의 방법을 응용하여 한국 재난을 소재로 한 영화를 탐구하고, 한국이 재 난을 소재로 한 영화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할리우드 재난영화의 모델을 벤치마킹한 것을 발견한다. 또 한 한국 토종문화가 녹아 있어 독특한 소재화 수단과 뚜렷한 현지색을 형성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영화 에 많은 창작 공간을 정책적으로 주었고 한국 재난 장르 영화들이 재난 서사를 통해 사회 현실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이다. 재난을 소재로 한 영화는 예술적 표현이자 삶의 실제 사진이며 그것은 실 제 세계의 예술적 표현이다. 재난에 임하는 인간의 공포심에 대한 예술적 묘사이며 재난이 닥쳐오는 순 간의 인간성에 대한 영화예술인의 해부다. 한국 재난을 소재로 한 영화는 사람과 사회 자연의 갈등과 갈 등을 잘 보여준다. 이 글은 한국 재난 영화의 호황에 대해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구체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 재난 장르 영화 연구의 몇 가지 틀에 박힌 이론을 요약하고 한국 재난 소재 영화의 형성과 발 전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서사 내용과 예술 수용, 표현 수단의 세 가지 관점에서 한국 재난 영화의 심 미적 가치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Overview of Korean disaster movie
1.1.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characteristics
1.2. Affected by Hollywood disaster movie
Ⅱ. Characteristic analysis of Korean disaster films
2.1. Emotional writing of “little people”
2.2. The delicate portrayal of “complex humanity”
2.3. “conscious” social critical consciousness
Ⅲ. Enlightenment of Korean disaster films on Chinese movies
3.1. Describe the character image and enrich the character
3.2.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seeking diversified development
3.3. Change narrative strategy and get rid of creative conventions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저우링 Zhou, Ling. 청주대학교 연극영화학과 박사연구생 (Cheongju Univ.)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