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성인의 삶의 질 척도 개발

원문정보

Development of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Adults

김흥규, 유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orean ‘long-life’ education has been on the progress with the intension to satisfy beneficiaries' various demands since 80th through the cause of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in 50th and mass production of industrial man power in 60 - 70th. It is a consequence that manifold demands in Korean ‘long-life’ education were raised together with the importance of ‘Quality of Life’ simultaneously in 80th. The interest in ‘Quality of Life’ which has been raised not only in the field of healthy life as a key factor of ‘Quality of Life’ but also in whole social fields including ‘home living’ ‘education’, ‘economic statement and work’, ‘social welfare and health’ ‘security and surroundings’ ‘culture’. Accordingly, Korean ‘long-life’ education should uphold this social demands and should be converted to social education which improve ‘Quality of Life’ to bring to the fruition of human's ultimate goals,; happy life, ‘life satisfaction’. First of all, Korean adult's ‘Quality of Life’ should be evaluated exactly in due course. This article developed 240 preliminary items in the six categories i.e. ‘home living’ ‘education’, ‘economic statement and work’, ‘social welfare and health’ ‘security and surroundings’ ‘culture’ throughout the prerequisite investigation and consensus with specialist group. This article is supported by the answer on the questionnaire made out by randomized 736 Koreans over 30 years old but under 60 years old. Inspection on reliability by internal consistency method (Cronbach's alpha) was performed and the factors were obtain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pending on the analysis results, total 93 items consist of 15 factors were developed for the scale for Korean Adult's Quality of Life. Final inspection was verified by randomized 1226 Koreans to recheck the reliability of this scale. In result, 93 items were fixed as the ‘Scale for Korean Adult's Quality of Life (SKAQOL)’ consist of total 15 factors in the 6 classifications.

한국어

한국 성인교육의 변화과정은 50년대 문맹퇴치, 60-70년대 산업인력 형성을 거쳐 80년대 학습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는데, 80년대 이후 이러한 변화는 삶의 질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대두된 시점과 일치한다. 현재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은 건강한 삶을 중심으로 가정, 경제, 복지, 안전, 환경, 문화 등 사회전반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반영하여 21세기의 성인교육 또한 인간의 궁극적 목적인 행복한 삶, 만족스런 삶 즉,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문제는 한국 성인의 삶의 질을 정확하게 측정․평가하여 장래 성인교육의 정책 및 방향을 모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살린 한국 성인의 삶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집단의 합의를 거쳐 가정, 교육, 경제․노동, 사회복지․보건, 안전․환경, 문화 등 6개영역으로 구성된 240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고 30세 이상에서 60세 이하의 성인남녀 7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영역별 삶의 질 응답을 얻었다. 문항양호도와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 α계수)로 신뢰도를 검증하고, 구성타당도를 얻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15요인으로 구성된 총 93개 문항의 성인의 삶의 질 척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의 재검증에는 8개 시도를 중심으로 총 1226명이 선정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6개 영역, 총 15요인으로 구성된 93문항의 한국 성인의 삶의 질 척도(Scale for Korean Adult's Quality of Life; SKAQOL)가 완성되었다.

목차

요약
 이론적 배경
  삶의 질에 대한 이해
  삶의 질에 대한 접근 방법
  연령별 삶의 질 개념 및 측정의 차이
  삶의 질에 대한 관련연구의 추이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의 대상
  삶의 질 척도의 적합성 판정을 위한 대상
  삶의 질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한 대상
  척도 재검증과 지역간 삶의 질 비교 평가를 위한 대상
 자료처리
 연구결과
  측정도구 개발 과정
  예비문항의 개발
  예비문항의 검증
  신뢰도 검증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흥규 heungkyu Kim. 인하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교수
  • 유현정 hyunjeoung Yu. 인하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