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공연기술 진화에 따른 무용 콘텐츠 제작 환경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Production Circumstances of Dance Contents Productions According to Technological Evolution for Performing Arts

이주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duction circumstances of dance contents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performing arts. Art and technology are in the relationship of a strongly mutual complement. The two should be a structure with a single fate which is organically combined and chemically responding each other. This study identifies it as the fulfillment of ‘technological creativity’.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e researcher examines the status of technological advances in performing arts and features of dance contents production and analyzes cases of dance contents products. As a result, the study finds out that producing dance contents must meet conditions in three different aspects; policy, technology and production. First, the policy must play a role of platform as its mission. That is, all processes of the policy making must devote the most labor to bond reasonable policy making and budgets supporting tight with production companies and its technologies. A test bed should be prepared by supporting policies to stable relevant technologies. Second, the performance planning should begin with the idea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from the early stage. Technology education for performing arts is inevitable and absolute for ones to accept and advance the technology for performing arts. Intensive courses must be introduced so that one could access and master stage relevant technologies. Third, technologies and production should be synchronized firmly on the basis of reflecting universal traits in dance contents production. For harmonious productions, the progress and commercialization of special effects on stages are recommended. Today technological evolution in performing arts is required to bear art stages with considerable degree of completion. When it comes to producing a dance contents, especially, The key is to preserve immanence and originality of a dance itself, give the full presentation of it, and make discussed conditions accommodated. Consequently, the answer on how to decrease the gap between technological and stage languages could be found on the stages.

한국어

본고의 목적은 공연기술 진화에 따른 무용 콘텐츠 제작 환경을 모색함이다. 기술과 예술은 상보성이 강한 바, 양자는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공동체 구조여야 한다. 연구자는 이를 ‘기술적 창의’ 실현이라고 상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 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연기술 진화 양상 및 무용 콘텐츠 제작 특성을 진단하고, 공연 기술 진화에 따른 무용 콘텐츠 제작 사례를 분석했다. 논의 결과, 공연기술 진화에 따 른 무용 콘텐츠 제작 환경은 정책, 기술, 제작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요건들을 충족 해야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정책 측면에서는 정책 플랫폼 역할이라는 소명을 다할 필요가 있다. 즉, 지원 기관의 합리적 정책 수립 및 예산 지원, 창․제작 및 기술 구현 기관, 제작사 간의 유 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정책과정 전 분야에서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기술 안정화 를 위한 테스트 베드(Test Bed) 가동이 정책의 뒷받침에 의해 순조롭게 이루어질 필 요가 있다. 둘째, 기술 측면에서는 초기 개발 단계부터 기술개발과 제작 관련하여 기 획이 함께 시작돼야 한다. 기술을 수용,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공연기술 교육이 절대적 이다. 공연과 연계된 기술 접근법을 터득할 수 있도록 심화 과정이 단계별로 이루어져 야 한다. 셋째, 제작 측면에서는 무용 콘텐츠 대내외적 제작 특성을 반영한 기술과 제 작의 유기적 연동이 작동되도록 한다. 원활한 제작을 위해 특수무대 장치 기술 고도화 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에 대한 고민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공연기술의 진화는 완성도 높은 예술 작품을 탄생시키는 시대적 요청이 되었다. 특 히 무용 콘텐츠 제작을 위해서는 무용이 가진 내재성과 고유성이 훼손되지 않고, 충분 히 발현될 수 있는 조건 위에 논의된 제반 여건들이 수용되는 것이 핵심이다. 기술언 어와 무대언어의 간극 좁히기는 결국 무대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공연기술 진화 양상 및 무용 콘텐츠 제작 특성
Ⅲ. 공연기술 접목 무용 콘텐츠 제작 사례 분석
Ⅳ. 공연기술 진화에 따른 무용 콘텐츠 제작 환경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주영 Lee, Joo-Young. 한양대학교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