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치경찰제도 개편안의 분석과 발전 방향

원문정보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Reform Proposal of the Korean Municipal Police System

이영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reform of the self-governing police system and the reform of the autonomous subcommittees from the perspective of securing organization, division, personnel, status, neutrality, and finance. In summa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organizational level, what is common is that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police remains the same. However, within the Police Reform Committe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municipal police headquarters of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governments are managed by the municipal police headquarters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while maintaining the national police organiz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will be reshuffled within the presidential office Cheong Wa Dae's plan to reshuffle the powerful agency. The self-governing committee reform plan is a landmark plan that involves the transfer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s organization, the district college and police branch, to the autonomous police organiz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office allocation, the police reform committee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 presidential office reform plan allocates general local police offices and some investigative rights to the local police while leaving the national police office intact. The self-governing body's plan calls for phasing out areas of office and manpower introduction in order to reduce confusion and side effects caused by drastic changes in the system.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at the personnel and status level, what is common is that the local police become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a certain position belonging to Shijun Island. However, in terms of the size of the workforce, the self-governing committee proposes it step by step. Four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 order to secure neutrality of the autonomous police showed that the police commission was established mainly as an agreed-upon administrative agency, and that the police commission was required to manage the local police and secure political neutrality without recognizing direct command and supervision of the governor of the province. Fifth, the financial analysis of the local police shows the direction of the state as a principle.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research focused on the need to adjust the authority of the autonomous police that is relatively insufficient for the national police authority, the change of percep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force, the development of the investigation capability of the local police force, and the ignorance of the possibility of a reduction of the overall security capabi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current local security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police should be changed to the local government of the metropolitan unit in the ultimate direction of the autonomous police.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발표된 ‘자치경찰제도 개편안과 자치분과위원회 개편안을 조직·사무배분·인사 및 신분·중립성 확보·재정적 차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적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공통점은 국가경찰의 틀은 그대로 유지한다는 점이다. 다만, 경찰청 경찰개혁위원회 안에는 현재 국가 경찰조직을 그대로 유지하면 서 광역자치단체 시‧도지사 하에 시‧도 자치경찰위원회를 두고 자치경찰본부를 관리하 고, 시‧도(시‧군‧구)에 자치경찰대를 신설하는 안이다. 청와대의 권력기관 개편 안에는 국가경찰이 확대개편이 되는 안이라고 할 수 있다. 자치분권위원회 개편안은 국가경 찰에 국가경찰위원회를 설치한 안으로서, 국가경찰의 조직인 지구대와 파출소를 자치 경찰조직으로 이관한 획기적인 안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사무배분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경찰청 경찰개혁위원회 안과 청와대 권력기 관 개편안은 국가경찰사무는 그대로 둔 채 일반 지역경찰사무와 일부 수사권을 자치 경찰에 배분한다는 것이다. 자치분권위원회 안은 급격한 제도 변화에 따른 혼선과 부 작용을 줄이기 위해 사무와 인력‧도입 지역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는 것이다. 셋째, 인사 및 신분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공통점은 자치경찰은 시‧도 소속 특정직 지방공무원이 된다는 것이다. 다만 인력의 규모면에서 자치분권위원회 안에서는 단계 별로 제시하고 있다. 넷째, 자치경찰의 중립성 확보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주로 시‧도경찰위원회를 합의 제 행정기관으로 설치하고 경찰직무를 시‧도지사의 직접적인 지휘‧감독을 인정하지 않 고 경찰위원회가 자치경찰을 관리하고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 하도록 하였다. 다섯째, 자치경찰의 재정적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국가가 부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바람직한 한국자치경찰제도의 발전방향 으로서, 국가경찰 권한에 상대적으로 미흡한 자치경찰권한의 조정 필요, 자치경찰에 대한 인식의 전환, 자치경찰의 수사능력의 발전, 총체적인 치안역량의 저하가능성 불 식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치경찰의 궁극적인 방향으로 현재의 국가경찰의 지방 치안조직을 그대로 광역단위의 지방자치단체로 소속변경을 하여 자치경찰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자치경찰제도 개편안의 내용
Ⅲ. 자치경찰제도 개편안의 분석
Ⅳ. 바람직한 한국자치경찰제도의 발전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영남 Lee, Young-Nam.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