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16세기 성리학자 趙晟의 養生論

원문정보

Jo Sung's theory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16세기 성리학자 조성의 양생론

안은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fucian philosophers aimed for the way which human beings should take. This is the way of human nature ‘In’ , that is to say, Tao ]. Following Tao was the essential of the theory of self-discipline in Confucianism. Self-discipline was naturally the most important to Confucian philosophers. In the later period, Neo-Confucian scholars explained the self-discipline theory of the fundamental Confucianism by Lichi theory . Human nature corresponds to Li, and the human body where the nature inheres represents Chi. Li and Chi are two constituents of a human being inseparable from each other. This scheme was to explain the human being in terms of the communication of inside and outside. Shim is the capacity of understanding and organizing such communication. Consequentially, human nature can be acquired through the training of Shim ‘Yang shim’ , and following the nature may result in the ideal life. This is the way which guarantees inside and outside health, and is the very goal of the self-discipline of Neo-Confucian scholars. The purpose of Yang Shang is to preserve and restore given life. Neo-Confucian scholars did not limit Yang Shang to physical health. They believed that physical health cannot be acquired without living according to nature. Accordingly, the first step towards Yang Shang is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Shim. Thus, Yang Shang of Neo-Confucian scholars did not focus on physical training but covered the entire process of learning which aimed for acquiring nature through mental and physical self-discipline. The physical health is naturally included in this process. As a result, Neo-Confucian scholars including Jo Sung understood Yang Shang as training of both inside and outside. For this reason, they always taught that Yang Shim aimed for Yang Sung was the essential of self-discipline . Yang Shim, the training of Shim, is closely related to bo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this context, the self-discipline was regard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Yang Shang. We can see the unitary perspective of Neo-Confucian scholars for self-discipline and Yang Shang. Such a perspective may be expressed as the theory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uniting inside and outside. This paper has focused on Jo Sung, who is a Neo-Confucian scholar of the Joseon Dynasty in 16th century, to examine the theory of self-discipline. Jo Sung (1492∼1555) was a disciple of Jo Gwang-jo. There are only a few remaining documents that describe Jo Sung. Most of them describe him as well-acquainted with various areas including medicine, music and astronomy. However, he was basically a Confucian scholar in the time of Neo-Confucianism. Yang shim dang gip shows his trace and thought as a Confucian scholar. Although Jo Sung has been little dealt with by the studies in the history of ideas of the Joseon Dynasty, he is a very interesting figure displaying a characteristic of the scholars in 16th century Joseon. His academic status can be estimated from the fact that he held social intercourse with great scholars such as Yi hwang

한국어

儒家지향은 인간이 마땅히 가야 할 길을 걷자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본 성 에 따라 가는 길, 곧 이다. 유학의 수양론은 이 도에 따르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당연히 수양론은 유가에게 가장 중요한 이론이다. 성리학자들 은 이러한 선진유학의 개념을 理氣論으로 설명하였다. 본성은 리’와 일치하고 본성을 내재한 인간의 몸은 기를 대표한다. 이 둘은 서로 떨어지지 않는 요소 로서 인간을 구성한다. 내외가 소통할 수 있는 구조로 인간을 설명하였던 것 이다. 은 이러한 구조를 이해하고 그 소통을 주관할 수 있는 역량이다. 그러니까 심의 강화 를 통해 본성의 확보가 가능하고, 본성에 따르는 삶은 가장 이상적인 현실을 결과할 수 있다. 내적 외적 건강을 보장받는 일이 다. 이것이 성리학자들이 수양의 목적으로 삼는 지점이다. 은 주어진 생 명을 잘 보존하고 회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양생은 신체의 건강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본성에 따르는 삶이어야 신체의 건강도 가능해진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생을 위한 첫걸음은 마음의 능 력을 강화하는 일이다. 이렇게 보면 성리학자들이 파악한 양생은 단순히 신체의 단련에 중점이 있 는 것이 아니었다. 심신의 수양을 통한 본성의 확인으로 가는 공부 전체를 아우르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신체의 건강은 자연스럽게 동반된다. 결국 조성을 포함한 성리학자들이 이해했던 양생은 의 단련을 겸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성리학자들은 늘 을 위한 을 의 골자로 천명한 다. 그리고 심을 단련하는 공부는 정신 뿐 아니라 신체의 건강과도 밀접 한 연관을 갖는다. 그러므로 수양은 곧장 양생으로 직결된다고 보았다. 여기 서 우리는 수양과 양생을 통일적으로 바라보았던 그들의 관점을 읽을 수 있다. 이런 특징을 ‘내외합일의 양생론’이라 표현해 보았다. 이글에서는 특히 16세기 조선의 성리학자인 조성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이 런 맥락을 살펴보았다. 조성(1492∼1555)은 조광조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힌 성 리학자이다. 조성에 관한 많지 않은 기록의 대부분은 그가 의학, 음악, 천문학 등의 다양한 이론에 정통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는 성리학을 공부한 유학자 이며 그 자취는 『養心堂集』에서 확인할 수 있다. 조성은 조선시대 사상사에서 거의 다루어진 적이 없는 인물이나 16세기 조선 지식인의 한 특징을 보여주 는 흥미로운 인물이다. 그의 학문적 위상은 이황과 같은 당대의 거유와 교유 하였던 것으로도 짐작할 수 있다.

목차

논문초록
1. 16세기 조선 유자들의 성리학과 양생론
1) 조선 성리학의 독자성 확보
2) 성리학자들의 양생론-養心 으로부터
2. 『養心堂集』의 양생이론
1) 養生 - 유학의 실용적 적용
2) 조성과 『양심당집』
3) 養心으로一以貫之
4) 양생의 실천
3. 內外 합일의 양생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은수 Ahn, Eun-Soo.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