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예방활동· 화재안전특별조사·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 분석

원문정보

Multivariate Analysis of Fire Prevention Activities, Special Investigations of Fire Safety, and Fire Safety Management by the Apartment Buildings Management Methods and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김종남, 공하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fire prevention activities, special investigations of fire safety, and fire safet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of apartment houses and the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ire preven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quality of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This means that fire prevention is high if the fire safety manager's ability to inspect firefighting facilities is excellent and the fire safety inspection i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national fire safety standards and checklist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re safety special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of the apartment buildings. The manual operated by the management entity and the management entity's management and execution help the organization members to expedite work. This expedition of work creates a high possiblity to get a good evaluation from the special investigation of fire safety. Third, analysis of fire prevention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the inspec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and the management method of apartment buildings. The analysis shows that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ire prevention and both the fire safety manager’s ability to inspect firefighting facilities and the degree to which the inspection is conducted to meet national fire safety standards.

한국어

이 연구는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의 점검에 따른 화재안전특별조사, 예방활동, 소방안전관리의 다변량분석에 대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특히, 공동주택 소방안전관리의 중요성 측면에서 집단 간의 비교분석은 필 요한 것으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방시설점검에 따라서 예방활동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시설점검능력이 우수하고, 국가 화재안전기준 및 점검표에 따라 적합한 점검 을 할수록 화재예방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관리방식에 따라 화재안전특별조사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파트 관리방식이 건축물 규모, 층수에 관계없이 관리주체의 운영메뉴얼, 관리집행이 조 직구성별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할수록 화재안전특별조사에도 만족하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예방활동이 소 방시설점검과 관리방식 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이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소방시설점검능력이 우수하 고 국가 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한 점검을 할수록 화재예방도 높고 아파트 관리방식이 건축물 규모, 층수에 관계없 이 관리주체의 운영메뉴얼, 관리집행이 조직구성별로 신속한 업무수행이 가능할수록 화재예방에도 만족하는 것으로 보여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공동주택의 개념
2. 공동주택관리의 형태
3. 아파트의 소방안전관리 관련법규
Ⅲ. 선행연구 분석 및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및 대상
2. 연구 도구 및 타당성
3. 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및 논의
1. 기초통계량 분석
2. 공동주택 관리방식과 소방시설점검에 따른 화재안전특별조사, 예방활동, 소방안전관리 요인(다변량분산분석)
Ⅵ.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종남 Jong-Nam, Kim.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소방방재학과 박사과정
  • 공하성 Ha-Sung, Kong.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