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중장년층이 인식하는 노인 이미지와 노후생활 준비도

원문정보

The Images of the Elderly Perceived by Mid and Older-aged Adults and Their Preparation for Later Life

여연정, 김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recruited adults aged 35 to 64 living in Daegu and Gyeongsang buk-do to analyze the images of the elderly perceived by the mid and older- aged adults and their preparation for later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images of elderly people recognized by the research subjects, psychological images were the most positive, followed by physical and social images. Those with a higher education level, full-time job, and parents alive had more positive images of the elderly. The psychological images were better in those married compared to singles or divorcees, and the higher the age considered as elderly, the better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images of the elderly. Seco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in the mid and older-aged adults was better in order of emotional and physical preparation, whereas economic and leisure and social preparation were not enough. Those who are female, those with a higher education level, higher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professional job, and full-time job, and those who have an older age in mind as a definition of elderly have been better prepared for later lif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their images of elderly people a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affected each other, and the more positive their images of elderly people, the better they had been prepared for later in lif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for improving the images of the elderly, implicating the necessity of exploring measures to provide individual and social support and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successful life after retir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및 경상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5세부터 64세까지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중장년층이 인식하는 노인 이미지와 노후생활 준비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층이 인식하는 노인 이미지 중 심리적 이미지가 가장 긍정적이었고 다음으로 신체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순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정규직이거나 부모 모두 생존할 경우, 노인 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기혼일 경우 노인의 심리적 이미지가 좋았으며 노인의 기준 나이를 높게 책정할수록 노인의 심리적, 사회적 이미지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중장년층의 노후생활 준비도는 정서적 준비, 신체적 준비 순으로 높았다. 반면 준비가 부족한 것은 경제적 준비, 여가·사회적 준비로 나타났다. 여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 가계수입이 높을 수록, 전문직일수록, 정규직일수록, 노인의 나이 기준을 높이 책정할수록 노후생활 준비도가 높았다. 셋째, 중장 년층의 노인 이미지와 노후생활 준비도는 하위요인 간에 서로 영향을 주며,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노후생활 준비를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노인 이미지의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으며, 개인과 사회적 지원의 방안을 모색하고 성공적인 노후생활 준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중장년층이 인식하는 노인 이미지
2. 중장년층의 노후생활 준비도
3. 노인 이미지와 노후생활 준비도간의 상관관계
Ⅳ.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저자정보

  • 여연정 Yeon-Jung Yeo. 정회원,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융합학과 석사졸업생
  • 김진숙 Jin-Sook Kim. 정회원, 대구한의대학교 평생교육융합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