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drama expresses the structure with cultural item caught by a creator in a certain way. It gave back the narrative time and character's structure of the real history, as the contents planned with enhancing traditional culture, and embodied visual image, such as color, place, and accessories. The drama was on air before finishing on web, and surprisingly sold by 90 nations all over the world. And then it is studied within historical background, parody, web contents' possibility leading the popular cultur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as the cultural contents that overcame the lack of integral recognition. The way how the archetypical myth is reinterpreted is analyzed, so that the pattern how the web drama is adapted to popular historic contents can be known. Therefore the real time in drama is compared with the historic timeline, and characters, place, and plots in the same timeline are analyzed. Finally the historic image used in the contents are researched.
한국어
웹드라마 <연희공략>은 청나라 건륭제시기의 역사를 서사 배경으로 설정하여 새로운 스토리텔링을 선보였다. 본 드라마 제작자 위정(于正)은 자신의 SNS를 통 해 전통문화에 대한 전승에 책임감을 느끼는 발언을 수차례 해왔고 <연희공략>을 제작하게 된 계기 역시 전통문화의 선양에 있다고 밝혔다. 즉 작가에 의해 포착된 문화적 소재가 일정한 방식을 통해 드라마로 표현된 구조라고 볼 수 있다. <연희 공략>은 전통문화의 선양을 염두에 둔 콘텐츠답게 실제 역사의 서사적 시간과 캐 릭터 구도를 완벽하게 환원해냈고 이를 색채, 공간, 장신구 등 시각적 이미지로 구현해냈다. <연희공략>은 웹에서 종영되기 전 이미 방송국에서 방영되기 시작했고 전 세 계 90여 개 국가에 그 판권이 판매될 정도로 큰 인기를 누렸다. 이에 <연희공략> 의 시대적 배경에 대한 연구, 패러디 문화, 웹콘텐츠가 주류 문화를 견인할 수 있 는 가능성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됐지만 ‘통합적 인식의 결여’를 극복한 문화콘텐츠로서의 연구는 여러모로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드라마 <연희공략>이 사용한 재해석의 방법을 면밀하게 분석 해봄으로써 대중적인 역사 콘텐츠로 전환하게 된 구체적인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실제 역사 시간과 드라마의 역사 시간을 비교했고 이 시간대에 등장하 는 인물, 공간, 플롯을 분석했으며 이와 더불어 서사에서 활용된 역사 이미지를 찾아보았다.
목차
Ⅰ. 서론
Ⅱ. 역사 관련 서사를 통한 드라마 서사 분석
1. 공간의 성격과 인물
2. 사건의 구성과 플롯
Ⅲ. 드라마 속의 시각적 이미지 분석
1. 전통 색채의 활용
2. 전통 장신구 및 기타 전통 문화의 활용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