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韓國漢字音의 一音節化 경향 - 4等韻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On the Changing to One Syllable in Sino-Korean : Mainly on the Fourth Rhymes

한국한자음의 일음절화 경향 - 4등운을 중심으로 -

李京哲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vowel /e/ of fourth rhymes in Ancient Chinese accepted to /jə/ in Sino Korean because Korean dose not have /e/. And /ie/ of fourth rhymes in Late Ancient Chinese accepted to /jə/ also because Korean dose not distinguish /e/ with /ie/. Because the /e/ or /ie/ replaced to /jə/ in SinoKorean, the /en・et/ or /ien・iet/ of opened rhyme Xian(先) accepted to /jən・jəl/ and the /em・ep/ or /iem・iep/ of rhyme Tian(添) accepted to /jəm・jəp/ in Sino-Korean. The /wen・wet/ or /wien・wiet/ of rounded rhyme Xian(先) must be accepted to /ujən・ujəl/ in SinoKorean, but, replaced to /jən・jəl/ because the /ujən・ujəl/ can not exist as a one syllable. The /ei/ or /iei/ of the opened rhyme Qi(齊) accepted to /jəi/ or /jə/ in SinoKorean. The /jə/ was replaced from /jəi/ to /jə/ because /jəi/ difficult to exist as a one syllable. and the /wei/ or /wiei/ of the rounded rhyme Qi(齊) must be accepted to /ujəi/ but, replaced to /jəi/ because the /ujəi/ can not exist as a one syllable in Korean. The /eu/ or /ieu/ of the opened rhyme Xiao(蕭) must be accepted to /jəu/ but, replaced to /jo/ because the /jəu/ can not exist as a one syllable in Korean. The /eiŋ・eik/ or /ieiŋ・ieik/ of the opened rhyme Qing(靑) must be accepted to /jəiŋ・ jeik/ but, replaced to /jəŋ・jək/ because the /jəiŋ・jeik/ difficult to exist as a one syllable. and the /weiŋ・weik/ or /wieiŋ・wieik/ of the rounded rhyme Qing(靑) must be accepted to /ujəŋ・ujək/ but, replaced to /jəŋ・jək/ because the /ujəŋ・ujək/ can not exist as a one syllable in Korean.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AC의 4等韻이 SK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1音節受容의 관점에 서 고찰해 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AC 4等韻의 核母音 e를 SK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音素가 존재하지 않아 jə로 대체하여 수용하였다. 이처럼 e를 i母音을 포함하는 jə로 대체하여 수용했기 때문 에 e와 ie의 音韻上의 변별성이 확보되지 못하여 SK에서는 ie도 jə로 대체된다. 2) AC의 先韻 開口 en/t 또는 ien/t은 SK에서 e나 ie가 jə로 대체되기 때문에 SK에서 대부분 <연/열>jən/jəl로 출현한다. 또한 先韻 合口는 <우연/우열>ujən/ujəl 로 수용되어야 하지만, 이는 1音節로 성립할 수 없어 合口性의 u를 脫落시키고 결 국 開口韻과 동일하게 반영되었다. 3) AC의 添韻 em/p 또는 iem/p은 SK에서 e나 ie가 jə로 대체되기 때문에 SK 에서 jəm/p형으로 출현한다. 4) AC의 齊韻 開口 ei 또는 iei는 SK에서 jəi형으로 주로 나타나지만, 이것이 1 音節로 성립하기 어려움에 따라 jə형으로 교체된 것이 혼재한다. 또한 齊韻 合口 wei 또는 wiei는 開口에 견주어 보면 <우예>ujəi로 수용되어야 하지만, 이는 1音 節로 성립할 수 없어 合口性의 u를 脫落시키고 결국 開口韻과 동일하게 반영되었다. 5) AC의 蕭韻 eu 또는 ieu는 SK에서 <여우>jəu로 반영되어야 하지만, <여 우>jəu는 1音節로 성립할 수 없어 <요>jo로 1音節化되었다. 6) AC의 靑韻 開口 eiŋ/k 또는 ieiŋ/k은 SK에서 <옝/옉>jəiŋ/jeik으로 수용될 것 이 기대되지만, 이것이 1音節로 성립하기 어려움에 따라 1音節의 <영/역>jəŋ/jək 으로 교체되었다. 또한 靑韻 合口는 <우영/우역>ujəŋ/ujək으로 수용되어야 하지만, 이는 1音節로 성립할 수 없어 合口性의 u를 脫落시키고 결국 開口韻과 동일하게 반영되었다.

목차

1. 서론
2. 先韻
3. 添韻
4. 齊韻
5. 蕭韻
6. 靑韻
7. 결론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李京哲 이경철. 동국대학교 문과대학 일본학과 교수, 일본어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