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 재일디아스포라와 일본 사회의 길항 / 상호작용

‘반쪽발이들’의 성장 서사

원문정보

A Growth Narrative of ‘Banjjokbari(半チョッパリ)’

박광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amamura Masaaki(山村政明, Yang Jeongmyeong), who is a naturalized person as a second-generation Korean Japanese, burned himself to death on October 6, 1970. He left a will titled 「Letter of Protest・Complaint」 that covered a reason for the suicide. 『At the End of the Life』 as a posthumous collection, which was put writing in diverse genres including this suicide note, was published in the following year. On top of it, a Korean-Japanese writer Lee Hoe-seong carried a preface titled 「The Scream of the Two- country Owner」. In the wake of this event, the naturalization of Koreans in Japan began to be highlighted as an important event in Japanese society following the year in 1952. A discrimination problem against Korean residents in Japan was raised. In addition, sympathy and interest according to it were further heightened. Lee Hoe-seong, who is a writer of the preface to the posthumous collection, fictionalizes this case in the same year, thereby releasing the medium-length story dubbed 「Banjjokbari」. He is showing what ‘the event’ is immanent in ‘my memory world eternally’ through the novel. In the meantime, Lee Hoe-seong cultivated stereotype of directly visiting the fatherland as a place of resolving ‘difficulty and crisis’ surrounding the identity of a second-generation Korean-Japanese. Especially, it became a narrative model that is often used among growth narratives in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Within the growth narrative at that time, the fatherland was like a place of identity.

한국어

일조선인 2세 귀화인 야마무라 마사히로(양정명)가 1970년 10월 6일에 분신 자살을 했다. 그 자살의 이유를 담은 「항의・탄원서」이라는 제목의 유서를 남겼다. 이 유서를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글이 실린 유고집 『목숨이 다하더라도』 이 그 이 듬해에 출간되었다. 거기에 재일조선인 작가 이회성은 「두 조국 소유자의 절규」 라는 제목의 서문를 실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1952년 이후 일본사회에서 조선인 의 일본 귀화가 중요한 사건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재일조선인에 대한 차별 문 제가 제기되고, 더불어 그에 따른 동정과 관심이 더욱 고조되었다. 그 유고집 서 문의 저자인 이회성은 그 같은 해에 이 사건을 허구화하여 「반쪽발이」라는 중편 을 발표한다. ‘그 사건’이 ‘영원히 나의 기억 세계’에 내재하고 있음을 소설을 통 해 보여주고 있다. 그러면서 이회성은 재일조선인 2세의 아이덴티티를 둘러싼 ‘곤란과 위기’를 해소하는 장소로서 조국을 직접 방문하는 스테레오타입을 만들 어냈다. 특히 그것은 제일조선인 2, 3세들의 성장서사(교양소설) 중에 자주 사용 되는 서사 모델이 되었다. 그때의 성장서사 안에서 조국은 아이덴티티의 장소나 다름없는 것이었다.

목차

1. 양정명/야마무라 마사아키(山村政明)의 분신자살 사건
2. 독서와 이동의 경로가 의미하는 것
3. 아이덴티티의 장소로서 조국
4.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要旨
ABSTRACT

저자정보

  • 박광현 Park KwangHyoun. 동국대학교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교수, 한일비교문화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