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찰관의 현장 출입 여부 판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대법원 2019.7.4. 선고 2019도4821 판결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Field Entrance of Police Officers - A Review of a 2019 Supreme Court’s Decision -

박종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police practice, police officers' access to reported sites constitutes the most typical and basic action for 'risk prevention and elimination'. Moreover, if suspicions exist about crime risks, such as the target judgment, but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danger situation, "confirm the risk after entering the site" through prompt and active judgment by the police. Under the current law, however, no clear rules can be found to determine whether police officers are allowed to enter the house to check for risks, adding to confusion at the scene. In this study, the Supreme Court's ruling (2019 degrees 4821) was analyzed to examin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police's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o enter a house for risk prevention and verification. Without identifying the specific nature of domestic violence, the Supreme Court quickly acquitted the suspect of obstruction of justice by judging the legality of the police's forced entry into the house, namely whether the police met the requirements of police officers. In addition, the poor performance of the objective reinforcement evidence to prove the inevitability of police officers entering the house has also affected the ruling. In this regard, the police need to improve the following points in determining whether to enter a house in the future: First of all, legal improvement measures require the addition of resident consent non-required requirements for entering and leaving a house under the "police officer's duty law" the granting of actual questions and investigative authority for victims' relief,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house entry under the "Home Violence Prevention Act," inclusion of those suspected of domestic violence, and the preparation of step-by-step forced entry procedures for denial of unjustifiable acts. And as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National Police Agency's guidelines for house entry and identification in case of emergency, actively utilize the "judgment margin" against specific risks, and secure procedural justification for house entry.

한국어

경찰 실무에서 경찰관의 신고 현장 출입은 ‘위해방지 및 제거’를 위한 가장 전형적이고 기본적인 조치에 해당한다. 더욱이 대상판결과 같이 범죄 위험에 대한 의심은 존재하나 위험 상황의 입증이 어려운 경우에는 출동 경찰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판단을 통한 ‘현장 출입 후 위험 확인’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행 법률상 위험 확인을 위한 경찰관의 가택 출입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명확한 규정을 찾 아볼 수 없어 현장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험방지 및 확인을 위한 경찰의 가택 출입 여부 판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살 펴보기 위해 대법원 판결(2019도4821)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법원은 가정폭력의 특수성을 구체 적으로 파악하지 않은 채, 경찰의 가택 출입에 대한 강제성 판단, 즉 경찰관의 출입 요건에 대한 충 족 여부만으로 적법성을 판단하여 결국 공무집행방해 피의자에게 섣부르게 무죄를 선고하고 말았다. 이에 더해 출동 경찰관의 가택 출입의 불가피성을 입증하기 위한 객관적인 보강증거의 추가 확보 부실도 본건 판결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향후 경찰에서는 가택 출입에 대한 판단 여부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점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먼저 법률적인 개선방안으로 「경찰관직무집행법」 상 가택 출입시 거주자 동의 불 요 요건의 추가, 피해자 구호를 위한 실질적인 질문 및 조사 권한의 부여가 필요하고, 「가정폭력방 지법」 상 가택 출입 범위의 확대, 가정폭력 행위 의심자의 벌칙 대상 포함, 정당성 없는 출입 거부 시 단계적 강제출입 절차 마련 등도 요구된다. 그리고 실무적인 개선방안으로 경찰청 지침인 「위급 상황시 가택 출입·확인 지침」의 개선 및 교육 강화, 구체적 위험에 대한 ‘판단여지’의 적극적인 활용, 가택 출입의 절차적 정당성 확보 방안의 마련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대법원 판결(2019도4821)의 분석 및 평가
Ⅳ. 경찰관의 현장 출입 여부 판단의 문제점
Ⅴ. 경찰관의 현장 출입 여부 판단의 개선방안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종철 Jong-Cheol, Park. 경찰대학 경찰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